[학술논문] 김대중의 통일·평화사상
...규범Grund Norm이었다. 둘째는 국제적인 감각과 비교를 통해 만들어낸 그의 한국형 통일 모델이다. 그에게 한반도의 통일이란 독일과 베트남, 북한과 한국 권위주의 정부의 통일방안과 차별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야 했다. 세 번째는 그만의 통일·평화론을 만들어내고 어떤 도전에도 굴하지않고 도전했던
창의적
낙관주의Creative Optimism이다. 김대중은 기존의 통일·평화론과 달리 남북연합이라는 차별적인 단계와 제도를
창의적으로 설계했고, 어떤 어려움에직면해도 가능성의 미래를 믿는
낙관
주의를 체득하고 있었다. 김대중은 한국의 현대사에서 그리고 앞으로도 상당기간 다시 반복되기 어려운 역사적 경험의 표상이다. 그런 점에서 통일·평화론이 그린 청사진의 최대치를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