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글 창제를 다룬 남북한 역사소설 비교
...『정의공주』와 북한에서 창작된 박춘명의 『훈민정음』을 비교해 보았다. 한글은 남북한이 공유하는 역사적 공통 유산으로서, 한글창제를 다룬 남북한 역사소설은 서로를 비춰주는 거울이 될 수 있다. 세 작품의 비교는 크게 민족주의와의 관련성, 세종의 형상화 양상, 여성주의적 시각이라는 기준을 바탕으로 수행하였다. 박춘명의 『훈민정음』과 한소진의 『정의공주』는 문자
창제의
주체로 고대 문자를 내세운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이와 달리 『뿌리 깊은 나무』는 한글이 외국의 문자와 이론의 영향 속에서 창제된 것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그러나 한글 창제의 이유는 철저하게 민족주의적인 관점에서 서사화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볼 때 남북한 소설 모두 민족주의 담론과 깊이 연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훈민정음』에서 세종은 성삼문의 절대적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