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금강산관광사업의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본 연구는 1998년부터 2008년까지 10여 년 동안 이루어진 남북한 금강산관광사업의 경제적파급효과를 산업연관분석모형을 통하여 분석하고, 향후 그 동안 중단되었던 금강산관광사업이 재개될 경우 남북한 양측의 금강산관광사업을 통한 경제적 효과 극대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방법은 금강산관광사업의 시행에 따른 관광기반조성산업 투자지출 및 관광객 최종소비지출이 국내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분석절차를 따랐다. 첫째, 한국은행에서 2010년에 발간한 전국산업연관표를 관광기반조성산업과 관광산업으로 재분류하여 27×27 부문으로 재작성 하였으며, 금강산관광사업 관련 관광산업은 관광쇼핑(소매업) 등 10개 부문으로 세분화하여 재구성 하였다. 둘째, 통합된 산업연관표로부터 생산유발승수,
[학술논문] 5・18민주화운동에 대한 유튜브 왜곡영상 네트워크 분석
이 연구의 목적은 5・18민주화운동을 지속해서 왜곡하거나 폄훼하고 있는 가짜뉴스들을 유튜브를 중심으로 누가 어떤 내용을 어떻게 확산시키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소셜네트워크 분석(SNA)방법을 이용해 5・18민주화운동 왜곡 영상 유통의 핵심적인 네트워크 구조를 파악하고, 그 확산양상을 분석했다. 연구결과, 먼저 ‘5・18에 북한군이 개입 되었다’는 내용을 지속해서 확산시켜 온 영상들이 있었지만, 왜곡의 중심은 2019년 2월에 국회에서 개최된 “진상규명 대국민 공청회(북한군 개입 여부를 중심으로)” 영상이었다. 그리고 이 영상을 확산시키는 주요한 채널은 <뉴스**TV>와 <Se****Tube **방송>이었다. 이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