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中國歷史地圖集』의 戰國時期 燕 長城 고찰
...노선도에서『地圖集』과는 달라 문제점을 나타내고 있다. 이후의 중국학자들은 대령강장성을燕 長城유지가 구체적으로 확인된 것으로 인식하였다. 하지만 대령강장성에대한 고고학적인 조사결과 燕 長城이라고 파악할 학술적 근거가 충분하게제시되지 않았다. 특히 燕 長城의 東端이라고『地圖集』에 특별히 표기된‘滿潘汗’에 대한 구체적인 위치비정에 문제가 있다. ‘滿潘汗’과 관련하여 제시된 박천지역의 ‘古博陵城’에서 고고학적인 흔적을 찾을 수 없기 때문이다. 『地圖集』에 제시된 청천강까지 연결된 燕 長城의 실체와 이와 같은『地圖集』의 연구결과를 지지하는 이후 중국학자들의 연구내용은 문헌적인측면, 고고학적인 사실관계 등을 고려해 볼 때 학문적으로 신뢰하기 어렵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다.
[학술논문] 위성 강우자료를 이용한 북한지역 홍수량 추정
본 연구는 위성으로부터 유도된 위성강우자료와 글로벌 지형자료를 활용하여 대표적인 비접근 지역인 북한지역의 청천강 상류에 위치한 동신군 지역을 대상으로 홍수량을 추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북한지역 홍수량 추정을 위한 모형은 IFAS를 이용하였고, 검증이 가능한 국내의 갑천유역에 대하여 모형에 대한 매개변수를 보정하였다. 모형의 검증을 위하여 낙동강의 병성천 유역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북한지역에 대한 위성강우를 이용한 분석에서 지상계측 자료를 이용하여 위성강우자료를 수정하였다. 수정된 위성강우를 이용한 유출분석에서는 첨두유출량이 CMORPH가 4,885.8㎥/s, GSMaP_NRT가 5,717.5㎥/s의 유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향후 더 많은 강우사상을 적용 및 검증을 통해 미계측/비접근 지역에...
[학술논문] 무문토기문화의 설정과 경계
...상류역도 포함되지만 주로 청천강유역과 함경북도 남부지역을 북한계로 한다. 동북아시아의 마제석검은 청천강유역 이남지역에 밀집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이단병식석검은 청천강 이남지역에서만 출토된다. 동북아시아 지석묘의 분포에서도 청천강유역을 경계로 하여 그 이남과 이북에서 분포의 밀도 차이가 크다. 또 석검·석촉·옥제장신구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는 부장습속도 청천강 이남지역에서 확인된다. 결국 청천강유역은 동북아시아의 청동기시대에서 중국 동북지역과 한반도를 구분하는 큰 경계가 되는 곳이므로, 그 이남지역을 ‘무문토기문화’라는 하나의 큰 집합의 고고학문화로 바라볼 수 있다. 가장 일반적이고 보편적 자료인 무문토기를 붙인 무문토기문화는 청천강 이남지역의 청동기시대 전체를...
[학술논문] 美松里型土器文化의 動態와 分布圈
...2호묘, 동산 9호묘의 호가 거론되어 왔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미송리형토기가요동의 어느 한 곳에서 발생하였다기보다는 요동반도와 요북지역에서 각기 지역색을 띠면서 거의 동시기에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권역은 고식의 미송리형토기가 출토된 요동반도, 요북지역, 그 사이의 동산유적 일대,그리고 고식은 없지만 미송리형토기가 전개된 압록강∼청천강유역과 기형적인 지역색이 뚜렷한 대동강유역이라는 다섯 개로 구분된다. 이 지역들을 묶은범위가 이른바 미송리형토기문화권이며, 이것은 어떤 통일된 문화권이나 정치체가 아니라 전체적인 공통성 속에서 권역별 다양성과 독자성을 유지하였던지역문화권으로 볼 수 있다. 문헌에 기록된 고조선이 요하 이동의 미송리형토기를 사용하던 집단들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면, 고조선은...
[학술논문] 청동기시대 북한지역의 초석 주거지에 대한 검토
...이해가 선행되어야 하므로, 본고에서는 청동기시대 북한지역의 초석 주거지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특히 주거지에서 확인되는 초석의 사용양상과 사용맥락을 분석한 결과, 그간 남한학계의 관심을 받아온 대동강 상류지역의 주거지에서는 미송리형토기의 등장 이후에 초석이 보인다는 점과, 그런 초석이 주로 1열 혹은 3열로 설치되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청천강 상류지역의 주거지에서는 초석을 사용했던 전통을 전혀 관찰할 수 없었다. 한편, 압록강 중·상류지역과 두만강유역에서는 청동기시대의 가장 이른 단계부터 초석 주거지가 보이는데, 초석은 2열 혹은 4열로 배치되었다. 이 지역에서는 기둥구멍 내부에 설치된 초석이 발견되기도 하는데, 이와 같은 초석의 설치양상은 남한지역의 가장 이른 단계의 가락동유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