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무문토기문화의 설정과 경계
...한반도 청동기시대 표지적 자료들의 분포 범위부터 상세히 검토할 필요가 있다. 공렬문토기 중에서도 심발이 주체를 이루는 곳은 압록강 상류역도 포함되지만 주로 청천강유역과 함경북도 남부지역을 북한계로 한다. 동북아시아의 마제석검은 청천강유역 이남지역에 밀집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도 이단병식석검은 청천강 이남지역에서만 출토된다. 동북아시아 지석묘의 분포에서도 청천강유역을 경계로 하여 그 이남과 이북에서 분포의 밀도 차이가 크다. 또 석검·석촉·옥제장신구의 조합을 특징으로 하는 부장습속도 청천강 이남지역에서 확인된다. 결국 청천강유역은 동북아시아의 청동기시대에서 중국 동북지역과 한반도를 구분하는 큰 경계가 되는 곳이므로, 그 이남지역을 ‘무문토기문화’라는 하나의 큰 집합의...
[학술논문] 美松里型土器文化의 動態와 分布圈
...2호묘, 동산 9호묘의 호가 거론되어 왔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미송리형토기가요동의 어느 한 곳에서 발생하였다기보다는 요동반도와 요북지역에서 각기 지역색을 띠면서 거의 동시기에 발생하였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권역은 고식의 미송리형토기가 출토된 요동반도, 요북지역, 그 사이의 동산유적 일대,그리고 고식은 없지만 미송리형토기가 전개된 압록강∼청천강유역과 기형적인 지역색이 뚜렷한 대동강유역이라는 다섯 개로 구분된다. 이 지역들을 묶은범위가 이른바 미송리형토기문화권이며, 이것은 어떤 통일된 문화권이나 정치체가 아니라 전체적인 공통성 속에서 권역별 다양성과 독자성을 유지하였던지역문화권으로 볼 수 있다. 문헌에 기록된 고조선이 요하 이동의 미송리형토기를 사용하던 집단들이라고 가정할 수 있다면, 고조선은 미송리형토기문화권전체를...
[학술논문] 이근영의 『청천강』 연구-월북이전 소설과의 유사성에 유의하여
본 논문은 월북 작가 이근영의 북한 농민소설 『청천강』의 소장처를 파악하고, 작품의 내용과 얼개를 분석하여 그것의 북한 소설로서의 당대성과 월북 이전부터 이어져 온 이근영 소설로서의 지속성을 함께 밝히고자 한 것이다. 이번에 소개하게 된 『청천강』 텍스트는 3부작 장편 중 제1부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작품의 배경은 식민지 시대 말기의 청천강 유역이다. 그동안 작품의 존재에 대한 기록만이 있었을 뿐 실전 텍스트를 발견하지 못하여 유예되었던 서지 사항의 확증을 부분적으로나마 수행하고, 이후 논의의 확장을 위한 기초 작업이 되도록 힘썼다. 1958년 탈고하고 1960년 발행한 『청천강』은 기존에 발굴 및 분석된 북한에서의 작품 「그들은 굴하지 않았다」(1955)와 「첫 수확」(1956)의 성취를 이어받고, 이후 집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