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가정의 심리적 양육환경과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만 3세-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188명을 대상으로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 부모의 양육신념, 심리적 안정감, 그리고 가족분위기에 대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관계, 양류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은 부모의 양육행동 가운데 온정성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통제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은 부모의 양육신념 가운데 문제해결능력 촉진, 창의적 능력 촉진, 일상적 기술 촉진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은 부모의...
[학술논문] 미래 사회의 변화와 가정과교육의 방향 탐색 - ‘삶 중심 교과’와 ‘행복 교과’로서의 성격 재인식을 중심으로 -
...가정과교육은 현재 우리 교육이 보이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교육적 역할을 담보할 수 있는 교육적 가치를 가진교과의 성격을 가진다. 가정과교육은 전통적으로 인간의 실용적 지능 계발에 유리한 인간의‘삶’전반을 교육내용으로 하는 ‘삶 중심의생활교과’라는 성격을 가지고 있다. 또 가정교과는 감사성향, 공감능력, 다양한 친사회적 행동 등의 다양한 행복추구역량을 기르는데 효과적인‘행복 중심 교과’로서의 성격을 가진다. ‘삶 중심 교과’의 성격과 ‘행복 교과’의 성격을 구현할 수 있는 가정과교육의 재구조화를 위해 삶의 틀(나, 가족, 지역사회, 일)과 Alderfer의 ERG 이론에서 제시한 인간의 위계적 욕구(존재,...
[학위논문] 공감적 자연치유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북한이주민의 사회적 기능을 중심으로
...40대(68.4%) 결혼 여부는 미혼(81.6%) 직업은 생산직(43.1%) 월 소득 평균은 200만 원 이하(42.5%) 거주지는 서울(45%)이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결과 공감을 받은 북한이주민은 친사회적행동과 도움행동을 하는 것으로 분석 되었고 친사회적행동과 도움행동은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하였으며 자기존중감은 주관적 안녕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공감이 자기존중감에 영향을 주어 주관적 안녕감을 조절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공감은 친사회적행동에도 영향을 주어 자기존중감과 주관적 안녕감을 조절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과적으로 공감이 북한이주민의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서 친사회적행동 도움행동 자기존중감 등은 중요한 매개가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