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반도 통일과정 및 통일 이후에 있어서의 한미동맹의 역할
한반도 통일을 논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가정에 기초해야 한다는 점, 그리고 여하한 통일과정을 위한 아이디어와 계획도 불가결한 파트너인 북한이 부재한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인정해야 한다. 통일 “발발(breakout)”과 그 시점은 우리의 통제범위를 넘어서는 것이므로, 우리는 단지 그것이 시종일관 평화적으로 진행되기를 염원할 뿐이다. 아울러 우리는 통일이란 남북한이 공식적 통일을 개시한 순간부터 그것이 완성되기까지 수십년이 소요될 것이라는 점을 강조할 필요가 있다. 조약과 공동의 제도를 통한 남북한의 결속은 통일의 최종상태가 아니라 단시 시작에 불과하다. 70년 또는 그 이상(최소한 3세대에 걸쳐) 분리되었던 두 민족이 어떻게 단일의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및 문화적 공동체로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