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본질찾기’에서 ‘맥락이해’로: 재일조선인과 한국인의 문화공존
...중앙아시아, 러시아, 일본 등에 흩어져 살던 코리언디아스포라의 귀환이 활발해졌다. 하지만 귀환한 코리언 디아스포라와 한국인은 서로의 차이를 존중하며 평화롭게 공존하기보다는, 오히려 몰이해와갈등의 폭을 넓혀가고 있다. 한국에서 함께 어울려 살면서 다양한 ‘문화충돌’을 경험하고 있는 것이다. 200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한국으로 이주하고 있는 재일조선인의 생활 역시 순탄치 않다. 이들은 과거 식민지 종주국이었던 일본에서 받았던 민족차별과 설움을 조국에서는 반복하지 않았으면 하는 기대감을 가지고 돌아오지만, 한국인이 지닌 ‘이중적(문화적・정치적) 이분법’이라는 굴레에 갇혀상처 받고 있다. 이 글의 목적은 한국인과 한국인 이외 코리언의 문화충돌을 일으키는 사회문화적 원인에 대해...
[학술논문] '고향'으로서의 북녘, 통일을 위한 정서적 유대 공간으로의 가능성
...영역으로 확장되어야 할 것이다. 특히 탈북민들의 망향의식에서 발견되는 이중적 장소애는 이 사회의 공동체로부터 공감과 긍정을 획득할 만한 요소를 지니고 있으며, 북녘이라는 금기의 땅이 회복해야할 ‘코리언의 고향’으로 재해석될 수 있는 가능성을 품고 있기도 하다. 그리고 탈북민의 망향의식을 중심에 둔 코리언의 정서적 통합은 그간 북에 고향을 두고 아파했던 실향민과 코리언 디아스포라의 연대를 통해 가능하며, 더 넓게 확대하면 급격한 사회변동을 경험하고 낙후한 고향을 떠나온 중장년 세대의 공감을 통해서 가능할 수 있다. 즉 ‘떠나올 수밖에 없는 이유는 분명하지만 고향이기에 그리운 곳’이라는 탈북민의 망향의식은 코리언의 공적 기억으로서 정서적 통합의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학술논문] 한반도 통일과 인권의 층위
...시각에서 인권의 층위 개념을 살펴보는 데 있다. 우선 인권의 층위는 한반도 인권, 북한인권, 남한 인권, 코리언 디아스포라 인권 등 분단체제를 중심으로 상호 연관관계를 형성하는 인권범주들을 지칭한다. 한반도 인권 범주는 분단체제의 구조적 인권유린이 남북 모두에 작동하고 있기때문에 성립가능하다. 또한 분단체제가 가하는 구조적 인권침해를 고려하더라도 남북의 고유한 체제에서 비롯되는 인권침해의 차별적 양상이 있는한, 남한인권, 북한인권이란 범주도 분석적 설명력을 지닌다. 나아가 한반도와의 역사적, 문화적 연대의식이 강하고, 통일한반도를 지향하는 코리언디아스포라의 정체성을 염두에 둔다면, 코리언 디아스포라 인권을 별도 범주로 설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권의 층위는 상호보완적인 인권의 개인적 차원과 집단적 차원을...
[학술논문] 식민과 냉전의 한국문학과 이산 -재러 한인 문학을 중심으로-
코리언 디아스포라 문학 중에서 재소 한인문학은 가장 먼저 형성된 문학장이다. 러시아 혁명 이후 자체적으로 조선인 문단이 형성되었는데 발표 무대는 ‘선봉’ 신문사였다. 최호림을 중심으로 한 이 조선인 문단은 조명희가 1928년에 연해주로 들어오면서 한층 확대되었다. 하지만 조명희와 최호림은 연해주 조선인의 정체성을 둘러싸고 대립하였다. 조명희는 연해주 조선인을 고국 조선과의 연계 속에서 찾으려 한 반면;최호림은 연해주 조선인을 소비에트 러시아의 하나으 소수종족으로 간주하였다. 이러한 대립은 1935년 이전까지는 코민테른의 좌선회 정책으로 말미암아 최호림이 우위를 점하였다. 하지만 1935년이후 코민테른의 7차 대회에서 반제국주의 투쟁을 옹호하는 정책이 선포되면서 조명희가우위를 점하였다....
[학술논문] 북한문학 연구에서 코리아문화 연구로 -평화체제로의 도정과 북한문학 연구의 과제
...대할 때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기존의 ‘(남)한국/(북)조선’문학의 대결구도를 해체하고 상위 개념인 ‘코리아문학’으로 재구조화해야 학문적 진전과 교류가 가능하다. 앞으로 남한국문학과 북조선문학을;코리언 디아스포라(혈연)의 한글문학(언어)을 포괄한 ‘코리아 문화’의 일환으로 다루자고 제안한다. 가령 유튜브에 ‘e-Korea’ 같은 서버를 만들어 한반도(지역);한겨레 디아스포라(혈연)와 코리아어계(한국어권역)를 포괄하는 디지털 아카이브를 상설화하는 식으로 전 지구적 플랫폼을 구축해서 자율적으로 운영하자는 것이다. 한글문학에 대한 연구방법도 종이책을 대상으로 한 아날로그적 분석 같은 접근법을 지양하고;유튜브 같은 디지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