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3.1운동에 대한 기억투쟁의 준거로서 ‘민족’과 ‘민족주의’ 재고
...가늠해보는 데에 더욱 생산적일 수 있음을 주장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고는 크게 네 가지 3.1운동의 기억들을 살펴본다. 여기서 네 가지 기억이란 일제강점기 함석헌의 3.1운동 인식, 『도쿄아사히신문(東京朝日新聞)』의 3.1운동 보도, 해방 이후 남북한의 교과서에 나타난 3.1운동에 대한 공식기억 등이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고는 3.1운동의 기억을
탈
민족
화하거나, 3.1운동의 기억 속에서 민족주의보다 더욱 보편적인 것처럼 보이는 거대 담론만을 소환하거나, 혹은 파편화되고 개별화된 기억들을 발굴하는 데에만 전념하는 것이 반드시 능사는 아닐 수 있으며, 100주년 이후로도 지속될 앞으로의 3.1운동의 기억투쟁에서 ‘민족’이라는 준거가 쉽게 제외되는 흐름 또한 오늘날 우리가 비판적으로 인식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