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구・경북지역의 북한이탈 초등학생의 문화변용과 학교생활 만족도
... 만족도는 높은 반면에 학습활동에 대한 만족도는 가장 낮았다. 또한 학교생활만족도와 문화변용 유형간의 관계에 있어서는 새로운 문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려는 유형 의 경우가 상대적으로 만족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탈북한
국내이주 청소년에 대한 기존의 획일적이고 단기적인 교 육위주의 지원정책에서 탈피하여, 문화변용차원의 계층별・속성별 수요를 반영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지원정책으로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