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渤海 기와 硏究의 推移와 몇 가지 斷想
...수 있는 시기이다. 2기(1950~70년대)는 조·중공동발굴대에 의해 중국 동북지역의 광범위한 발굴이 이루어진 시기로평기와에 시문된 압인, 문자 등을 주목하기 시작하였다. 3기(1980~90년대)는 연구가 급증하였으며 북한과 중국, 남한과 러시아의 공동조사 성과가 가시화된 시기이다. 특히 남 북한에서는 와당 분석을 통해발해 기와가 고구려와 통일신라의 영향을 받았음을 밝혔다. 4기(2000년 이후)는 중국의 동북공정이 본격화되면서 여러 나라에서 연구가 촉발되었으며, 조사지역도 연해주까지 넓어지고 기와의 명문 서체, 수막새 문양별 검토 등 연구가 세분화된 점이 특징이다. 선행 연구의 추이를 토대로 주요 논점을 살펴보면, 발해 기와의 종류와 용어 문제, 분류기준의 명확성 제시, 암키와와 암막새의 개념...
[학술논문] 한강 유역 古代 우물에 대한 試論的 연구 - 서울・경기지역을 중심으로 -
최근 한강 유역에서는 삼국~통일신라시대 우물이 적지 않게 조사되었는데, 주로 백제와 신라 우물이 발굴되었다. 우물의 유형은 목조 우물을 비롯하여 토광 우물, 토광+석조우물, 목조+석조 우물, 석조 우물로 구분된다. 이중에서는 석조 우물이 가장 많이 축조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목조+석조 우물은 삼국 모두가 축조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백제 우물은 목조 우물뿐만 아니라 목조+석조, 석조 우물 등 다양하고, 신라 우물 중에 목조+석조 우물도 축조되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고구려 우물은 남한에서 1기만 조사된 상태이지만, 북한이나 중국에서 조사된 우물을 참고해 본다면, 우물의 축조기법이 백제와 신라에게 영향을 직・간접으로 미쳤을 개연성이 있다. 그리고 경제성 면에서는 목조>목조+석조>석조 우물의...
[학술논문] 통일문학사에서 「정읍사」의 시대 귀속 문제
...중요한 작품이다. 하지만 분단 후에는 남북이 각자의 시각 차이로 인해 「정읍사」의 발생 시기를 상이하게 하고 있다. 남한에서는 「정읍사」의 시대 귀속을 실증주의적 관점에 따라 백제 혹은 고려로 대립하고 있지만, 백제민이 남편의 무사귀환을 바라는 망부가적 성격으로 원문을 해석하며 대체적으로 백제의 노래로 규정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은 「정읍사」를 분단 초기 통일신라시대의 작품으로 분류하다가 사회의 압박과 불행 속에서 탄생한 사회비판적 성격을 띠고 있는백제민의 창작품으로 분석하였다. 이는 고구려 중심주의를 표방하며 「동동」을 고구려의노래로 소급하는 과정에서 이와 후렴구가 유사한 「정읍사」는 고구려의 영향을 받은 백제의 노래로 규정할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문학적 시각 속에서 남북을 비교해 보았을 때, 남한은...
[학술논문] 역사관에 따른 남북한 향가 수용의 차이
...본고는 이를위해 고전 시가 중, 통일 신라 시대 향가를 살펴보고 교육적 함의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우리나라 최초의 통일 국가의 유구한 문화유산은 남북이 공통으로 소유하고 있는 것이며, 통일 시대에도 이를 통해 교육적 역할을 기대할수 있을 것이다. 남북한 향가의 수용 양상은 체제와 역사인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는데, 체제는 정치적 상황에 대한 논의가 주를 이루고, 역사인식은 교육적 논의까지 다루고 있어 교육적 활용을 위해 후자를 선택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남북한 역사 교과서를 살펴보았고, 수용 양상이 어떻게 다른지 비교해 보았다. 남한의 역사 교과서는 통일 신라의 정통성을 인정하고 역사적 평가의 긍정적, 부정적 평가의 두 측면을 교과서에 제시 하였고, 북한은 통일신라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고려에 정통성을...
[학술논문] 북한 음장방언 속의 무성조․무음장 방언에 대하여
...결과;‘성조’와 ‘음장’이 중화된 것으로 본다. 제주방언에서 필자는 성조방언과 음장방언이 접촉하는 경우에 무성조․무음장 방언이 되는 조건은 다음 두 가지라고 생각한다. ㉠ 두 방언 중에 하나가 다른 방언 속에 장기간 포함되어야 한다. ㉡ 포함되는 방언이 포함하는 방언보다 사회․문화적으로 상위여야 한다. 북한의 음장방언 속에 분포되어 있는 무성조․무음장 지역은 통일신라와 발해의 국경지역으로 신라의 군대와 군무원이 주둔하다가 정착한 곳이다. 그러므로 이 지역의 무성조․무음장은 사회․문화적으로 상위에 있던 신라 사람들의 성조방언이 원주민의 음장방언에 포함되어 접촉과 간섭이 계속된 결과 ‘성조’와 ‘음장’이 중화된 결과로 생성된 것이라고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