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궁산문화 연구 과정과 편년 논리
...신석기시대 편년을 주도한 지역인 평남, 황해지역의 궁산문화 연구 과정과 편년 논리 검토를 목적으로 하였다. 북한의 고고학은 해방 후 1960년대에 이르기 까지 정권 수립과 전후 복구 과정 속에서 제도 및 기구 정비, 개발에 따른 발굴조사의 폭증, 연구 인력의 양성과 함께 비약적으로 성장하였다. 궁산문화의 설정 및 편년 역시 이러한 과정 속에서 가능하였다. 서북조선에 보이는 유문의 원저・환저 토기만을 지칭하던 ‘빗살무늬토기’ 개념은 1960년 이후 신석기시대의 토기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확대되었으며, 북구 및 시베리아 계통으로 처음부터 인식되었다. 이러한 계통론은 1960년대 중후반 주체사상의 전면화 및 도유호의 숙청과 함께 자취를 감추고 문화 발전의 고유성이 강조된다. 궁산문화 편년 연구 추이는...
[학술논문] 고구려고고학 연구 120년
...고구려고고학의 연구동향을 네 개의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제 1기(1895년~1945년)에는 일본인이 연구를 주도하였으며, 고분과 성곽 등 새로운 자료의 획득을 중심으로연구가 이루어졌다. 제 2기(1946년~1973년)에는 북한과 중국 현지인에 의한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 시기에는 북한의 연구자들이 연구를 주도하였는데, 적석총과 봉토분의 구조형식과 편년 등 연구의 기본적인 틀이 마련되었다. 제 3기(1974년~1994년)는 중국의 연구자들이 연구를 주도하였는데, 적석총의 기원과 구조형식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이 제시되었다. 또한 고분과 성곽 등 전통적인 연구주제 외에도 건축및 유물 등으로 연구가 확대되었으며, 현재 논의되고 있는 대부분의 주제에 대한 개설적인 연구가 이루어졌다. 제 4기(1995년~2014년)에는...
[학술논문] 일본 防衛硏究所 소장 조선 주둔 일본군 관계 사료의 구성과 성격 -‘滿洲-朝鮮’ 史料群을 중심으로
...자료는 1945년 8월 종전 무렵 발행된 것으로 보이는 ‘역사서’와 일본군 동향보고, 조선 내 일본군 병영 신축증축개보수 공사설계서, 각종 지도류 및 기타 토지수용서류 등이 포함되어 있다. 필자는 각 사료를 “편년사료/부대일지/설계서류/지도ㆍ지리지/명령보고/토지수용/기타/비공개” 자료로 구분하였다. 이에 따르면 ‘만주조선’ 사료군은 설계서류 225책, 편년사료 41책, 명령보고 31책, 지도ㆍ지리지 23책, 토지수용 17책, 부대일지 16책, 기타 15책, 비공개 20책으로 구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만주조선’ 사료군은 생산시기나 주체, 자료적 성격면에서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학술논문] 한중러 접경지역 철기시대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범위에 대한 검토
...범위에 속하지 않는다고 판단되었다. 따라서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의 서북 및 북부경계는 이 문화와 동강 문화를 비교 고찰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 는 북한의 유적을 포함한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의 편년연구가 전제되어야 한다.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는 고배와 주상파수부 발형토기를 바탕으로 전체 Ⅲ기로 나눌 수 있는데, Ⅰ기는 기원전 5세기, Ⅱ기는 기원전 3세기, Ⅲ기는 기원전 1세기부터 1세기까지 이다. 범의구석 5기 일부 주거지와 6기, 오동의 6호 주거지, 초도의 4기는 단결-크로우노 프카 문화의 Ⅱ기로 편년된다. 여러 연구를 토대로 사료에 나타난 「옥저」로 비정 가능한 기 간은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의 Ⅲ기이다. 한카호 주변과 목단강 주변의 동강 문화는 단결-크로우노프카 문화와 고고문화의 차이 가 크다...
[학술논문] 북한 서포항 유적과 연해주 청동기문화의 비교고찰 -편년을 중심으로-
...북한학계에서도 중국과 비교연구하면서 연대를 소급시킬 뿐이었다. 그런데 이 유적에서는 신석기문화층 뿐만 아니라 청동기시대문화층도연해주문화와의 관련성이 토기 및 토우 등에서 뚜렷하게 관찰된다. 이미 서포항 청동기시대는 연해주 청동기문화와 관련지어져 왔으나 시니가이 문화의 서부1유형이 새롭게 고찰되고, 리도프카문화의 토기가 관찰됨에 따라서 서포항유적의 청동기시대층의 편년을 정리하고자 한다. 그 결과 서포항 청동기시대 4계의 단계로 구분되는데, 서포항 청동기 1단계는 유적의 5기가 해당된다. 7호 주거지에서 출토된 시니가이 문화 서부 1유형의 파수가 한쪽만 달린 토기가 출토되는 등 토기와 석기가 모두 시니가이 문화 서부 1유형과 비슷하다. 서포항 청동기 2단계는 5호, 6기 퇴적층 일부 토기가 포함되며, 시니가이 문화의 서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