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해방기 재북 시인 양명문의 이상과 현실 갈등 연구 ― 북에서 발간한 시집 『송가』를 중심으로
This article is to examine YANG Myung Moon and his poem 『SongGa』 published in North Korea at the liberation period. The purpose is to know how Pure literary writers in North Korean under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circumstances in the liberation period of North Korea, experienced the frustration in their pointing spot of literature, and moreover, how the outcome and process did appear to compromise
[학술논문] 평안남도 건국준비위원회와 조만식
...서울에서 중도좌파인 여운형을 중심으로 조직된 건국위원회가 한국 사회를 이끌어갔다는 주장에서 비롯된 것이다. 하지만 해방 직후 만들어진 건국준비위원회를 전국적으로 조망하면 이같은 결론은 지나치게 단순하다. 특히 북한을 대표하는 도시 평양에서 조직된 평남 건국준비위원회와 그것을 이끌었던 기독교계 민주주의자 조만식에 대한 연구는 해방 직후 한국의 전체적 상황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평양의 기독교계 민족주의자 조만식을 중심으로 평남건국준비위원회의 창설과정, 조직, 활동, 그리고 해산과정을 살펴보았다. 비록 조만식이 서울의 여운형과 같이 건국준비위원회라는 명칭을 사용하고 있지만 서울의 여운형과는 상당한 차이를 갖고 있다. 평남 건준은 사회주의 계열이 주도권을 갖고 있는 서울의 건준과는 달리...
[학술논문] 이윤영 목사와 해방공간의 반탁·통일운동
이윤영은 해방 이전 북한의 대표적인 감리교 목사로서 항일운동에 앞장섰으며, 해방 이후에는 조만식과 같이 공산주의에 맞서 평남 건국준비위원회 부위원장과 조선민주당의 부당수를 지냈다. 반탁운동 때문에 소련군의 박해를 피해 월남하였으며, 남한에서는 월남민과 북한 기독교를 대표해서 이승만과 함께 대한민국 정부수립에 노력했다. 이윤영은 조선민주당을 서울로 이전하고, 그 대표자로 활동하였다. 조선민주당은 이승만과 같이 철저한 반공과 반탁을 외쳤지만 이승만과 달리 미소공동위원회의 임시정부에 관한 논의에는 참여하였고, 남한만의 좌우합작이 아니라 북한에서도 좌우합작을 인정해서 북한 우익의 대표적인 인사인 조만식을 정치에 복귀시킬 것을 요구하기도 하였다. 이윤영은 남한에서 이승만과 손을 잡고 우익 세력의 중심에서 활동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