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인권]
이 책은 북한에서 국군포로의 손녀로 태어난 장샤론씨의 이야기입니다. 장샤론씨는 1991년에 태어났지만, 그녀의 인생은 한국전쟁이 거의 끝나갈 무렵인 1953년에 이미 결정되어 있었습니다. 대한민국 군인이였던 그녀의 할아버지는 한국전쟁시 북한군에 붙잡혔습니다. 그는 투옥, 구타, 고문을 견뎌냈고, 석방된 후, 그는 아오지 탄광에서 일해야만 했습니다.
어머니도 어쩔 수 없이 탄광에서 일을...
[법/인권]
.../>
미국의 대북 식량지원은 인도적 차원에서 이뤄진 것이지만 실질적으로는 두 가지 정치적 사건과 연계되어 있었다. 첫 번째는 북한에 억류된 미국인 에디 용수 전(Eddie Yongsu Jun, 이하 전용수)의 석방이었다. 평양에서 북미 간에 대북 식량지원 논의가 한창이던 당시 한국계 미국인 전용수가 북한 당국에 체포돼 있었다. 킹 대사는 전용수를 면담하고 북측에 석방을 요청했지만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의 방북과 같은 정치적 거물의 개입 없이 전용수가 석방되리라고 기대하기 어려웠다. 그러나 북한은 미국의 석방 요청을 받아들였다.
두 번째는 6자 회담 재개 논의였다. 당시 스티브 보스워스 대북정책 특별대표와 성 김 부대표는 북한과의 6자 회담 재개를 위한 북측과의 논의를 진행하고 있었다. 북한은 비핵화...
[학술논문] 한국 전쟁기 천주교회와 공산 정권 ―초대 주한 교황사절 번 주교(Bishop Byrne)를 중심으로―
...번 주교는 대한민국이 민주주의 국가로 수립된 것을 하느님의 섭리로 이루어진 도덕적 결과물이라고 강조하였고,국제 사회에서 대한민국 정부가 한반도의 유일한 합법적인 국가로 승인되도록 지원하였다. 이승만은 천주교회는 악과의 전투에서 가장 좋은동맹이라며 번 주교를 치하하였다. 한국 전쟁이 발발하자 번 주교는 전혀 대항할 의사가 없다는 뜻으로 주교공관의 모든 문을 열어 둔 상태에서 북한군에게 체포 ․ 실종되었다. 정전을 눈앞에 두고서야 생환한 포로들을 통해 ‘죽음의 행진’ 끝에 악의적인 학대로 번 주교가 사망한 사실이 알려졌고, 공산주의자에게는 악마와 같은 무리라는 거센 윤리적 지탄이 가해졌다. 결국 한국 전쟁기에공산 정권이 천주교회에 가한 행위는 반공(反共)을 한층 강화하는 결과로 이어졌다.
[학술논문] アイゼンハワーの米韓相互防衛条約への承認過程と反共捕虜の釈放
...を最も警戒していた米国にとって、これは同司令部の権威に挑戦するかのような単独行動にほかならなかった。ただ、李承晩は、反共捕虜の釈放以降、追加的な大規模の釈放に踏み切ることなく、自らの単独行動によって悪化した状況の沈静化を図ろうとする一方で、「休戦に関わることなく休戦を支援できる」と韓国の休戦協力への可能性を初めて表明した。李承晩による反共捕虜の釈放は、従来の休戦反対の姿勢から本格的な米国との交渉に応じる姿勢への転換を予告するものであったと言えよう。これ以降、休戦協力への条件と米韓相互防衛条約の条項をめぐる米韓間の協議が本格化するのである。
[학술논문] 1950년대 전시납북자 귀환 교섭과 한국정부의 대응
...동원된 남한 출신 ‘의용군 포로’의 석방, 북한에 억류중인 납북자 귀환을 추진해갔다. 그리고 미8군에 이에 대한 협조를 요청했다. 이에 미군 측은 유엔 본부의 승인이 필요한 ‘국제적 문제’라며 답변을 보류했다. 결국 이들 의용군 포로석방과 납북된 민간인 귀환 논의는 1951년 7월 휴전회담이 시작되서야 공식적으로 거론될 수 있었다. 휴전회담에서 유엔군과 공산군간의 납북자 귀환 협상은 원칙과 현실면에서도 맞부딪히고 있었다. 유엔군은 전쟁포로의 상호 1:1교환과 자유의사에 의한 송환원칙을 주장했으나, 북한은 전체 인원의 강제송환을 주장했다. 양측이 수용하고 있는 포로의 수에서 큰 차이가 나는 것도 협상의 걸림돌이 되었다. 결국 전쟁포로문제가 난항을 거듭하면서 납북 민간인...
[학술논문] 북한 이탈여성의 생애사 재구성 : 주체사상에서 벗어나 자본주의 사상의 미망으로
...조건에 의해서 끊임없이 삶의 기반을 박탈당하고 구석으로 몰리는 삶]과 [북한에서 모든 희망을 내려놓고 남한으로 탈출하여 결혼을 통해서 생활 안정을 꿈꾸고자 한 전략이 좌절된 삶]이다.그리고 주변적 주제는 이러한 주제가 형성된 배경으로서 작용하는 주제로서 [북한에서 국군 포로의 자녀라는 지위 때문에 음악가의 좌절된 삶], [자신의 출신성분을 탈피하기 위하여 당성을 인정받고 당원이 되고자 하였으나 역시 좌절된 삶], [남편과 결혼 후 아버지의 국군 포로 전력 때문에 남편의 당원 입당의 꿈이 좌절되어 불화한 가족생활], [남편의 사망 후 주변부에서 나락으로 떨어진 삶], [중국에서 보호받지 못하는 존재, 남한에 정착한 후 남과 북 어디에도 속하지못하는 혼란스러운 정체성]으로 요약할 수 있다. 그리고 이야기된 생애사의...
[학술논문] 한국소설에 나타난 애국포로의 서사와 반공국가의 불안
...위해 애국포로의 서사에 주목한다. 애국포로는 정전협정 전후 사용되었던 개념으로 적군인 포로의 이름에 애국의 기표를 부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적이다. 애국포로는 반공포로석방사건과 긴밀하게 연관되면서 등장하는데, 반공포로송환과 관련된 문제들은 냉전의 체제 내부에서 남한정부와 미국정부간의 불일치의 지점을 극명하게 드러낸다. 남한정부는 반공포로석방사건을 통해 포로의 중립지역 이송을 거부하고 진영중간지대를 부인하는 태도를 드러낸다. 이러한 극렬한 반공의 담론은 미국과 중국이 전쟁의 협정에 조인하는 순간까지 북진통일을 주장하는 모순적인 상황을 만들어낸다. 본고에서는 남한체제를 선택한 포로들에게 ‘애국’의 명칭이 부여되고 있다는 점을 전제로, 북한출신 의용군포로와 남한출신 의용군포로, 그리고 남한출신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