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포스트식민 한국에서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의 전유 - 초기 현대 지리학에서 ‘한국의 위치’의 사례 -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을 전적으로 적용하지 않고 식민 상태에서 갓 벗어난
한국의 시대적 맥락에 따라 전유하였음을 보여준다. 분석 결과는 초기지리학자들이 그들 텍스트에서 한반도는 역사적으로 주변 강대국의 침략을 야기시켜왔던 지리적 위치라고 설명하면서도, 환경의 과잉결정성을 회피하면서 그 위치를 적절하게 활용하는
한국(혹은
한국인)의 역량을 강조하였음을 드러낸다. 이러한 지적 실천은 잠정적으로 식민적 지식이었던 환경결정론적
지정학을
포스트식민
한국의 맥락에 맞게 ‘한국화’하는 과정이었다. 그러나 동시에 이 과정은
포스트식민
한국
지정학의 ‘서양화’를 암시하는데, 식민 지배로부터 독립을 쟁취한
한국이 역설적으로 강대국이 되기를 갈망하는 ‘약소국의
지정학’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