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미군정 초기 정치 대립과갈등 구조의 중층성 -1945년 말 한국민주당 주도세력의정계 개편 운동을 중심으로-
이 글은 그동안 학계에서 거의 해명되지 못했던 송진우를 중심으로 한 한민당 주도세력의 1945년 말 정계개편운동의 배경과 양상, 특징과 성격을 살펴보는 것을 통해 미군정 초기 정치 대립과 갈등 구조의 중층성을 해명하는 연구이다. 이승만과 임정세력이 모두 귀국한 1945년 말 시점에서 미군정, 이승만, 임정, 한민당 주도세력, 조선공산당을 비롯한 좌익 세력들이 어떠한 대립과 갈등 구조를 중층적으로 맺고 있었는가를 살펴보았다. 한민당 주도세력은 1945년 12월 들어 민족문제를 전면적으로 제기하면서 남한 신국가 건설을 위한 정계개편운동을 광범하게 전개하였다. 이러한 운동이 제기된 직접적 배경은 미국무부 빈센트 극동국장의 한반도 신탁통치 발언으로 드러난 미 국무부의 한반도 신탁통치 방침에 대한 우려였다. 그리고 소련
[학술논문] 해방과 개념, 맹세하는 육체의 언어들 ― 미군정기 한국의 언어정치학, 영문학도 시인들과 신어사전을 중심으로
미군정기(1945~1948) 한국의 언어 공간을 영어, 신어, 새 말 세 개의 ‘새로운 언어’들이 해방공간을 분할하고 있었고, 일본어 역시 매개적 힘을 잃지 않고 있었다. 후기식민지=신식민지로 이어지는 해방 후 한국의 레짐은 통역관 정부 혹은 광범한 통역체계에 의한 지배로 요약된다. 통역체계는 일본어에서 영어로 바로 이행한 것이 아니라, 일본어라는 언어 혹은 ‘친일파’라는 사회집단을 매개로 이루어졌다. 이 시기의 언어 현상의 원천은 법과 제도, 풍속과 생활, 과학과 맹세로 범주화될 수 있다. 1) 법과 제도의 언어로서의 미군정(MG)의 영어에 도전하는 사회주의적 지향의 언어들은 신어사전이나 ‘주의, 사회, 과학’이라는 표제가 붙은 팜플렛류의 어휘집을
[학술논문] 북한 핵위협에 대한 한국의 대응 포트폴리오 평가와 보완방향
본 논문은 북한이 핵무기의 소형화․경량화에 이어서 다종화․다수화를 추진하고 있는 상황에서 지금까지 한국이 대비하고 있는 방법들의 조합, 즉 대응 포트폴리오가 미흡할 것이라는 문제의식 하에서 작성되었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적용되어온 핵위협 대응에 대한 대응방법들을 검토하고, 북한의 핵무기 위협이 어느 정도로 진전되었는지를 평가하였으며, 그에 대한 한국의 현 대응방안들의 실태를 점검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 한국이 지금까지 추진하고 있는 외교적 노력, 미국의 확장억제, 선제타격, 탄도미사일 방어로는 다종화․다수화되고 있는 북한의 핵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는 평가를 내렸고, 이제는 핵민방위와 같은 최후의 방법이나 예방타격과 같은 위험한 방안도 추가하여 더욱 다양한 대응 포트폴리오를 구성해야 한다고
[학술논문] 박팔양 시와 낭만적 코즈모폴리턴
박팔양은 서울에서 만주를 거쳐 북한에 정착하는 인생 역정을 겪으며 식민지조선의 역사를 대변하는 인물이다. 엘리트출신으로서 학창시절부터 여러 문인들과 교분을 쌓았고 신문기자로 근무하며 카프와 구인회에 가입하여 활동한 한편 만주시기에는 조선어 신문 『滿鮮日報』의 학예부장, 편집부장을 맡아 국문학이 위축되던 시기에도 조선어문예를 적극 추진하는 등 문학사적으로도 중요한 위치에 놓이는 시인이다. 해금이후 박팔양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어오고 있으나 만주시기의 이력과 작품내용 때문에 특정 작품이 논의에서 배제되는 경우가 있다. 『滿洲詩人集』에 수록된 「사랑함」과 「季節의 幻想」은 일본제국주의에 협력한 결과 생산된 친일시로 분류되어왔기 때문이다. 박팔양이 일제의 기관지인 『滿鮮日報』에서 부장을 역임하고 이후에 협화회 홍보과에서
[학술논문] 민주주의와 한반도 평화
한국의 역대 정부 가운데 상대적으로 민주주의를 더 강조하는 정부일수록 민주적이지 않은 북한과의 협력을 강조하는 것은 역설적이다. 민주주의가 대외 관계에 어떤 영향을 주고 어떤 영향을 받는지에 관한 선행 연구는 한국의 민주적 정부가 취해야 할 외교‧통일 정책의 방향을 제시한다. 민주주의가 자국의 평화나 타국의 민주화에 도움 된다고 하더라도 그 효과는 상황에 따라 다르다. 민주 정부는 독재 정부와 달리 다수 유권자를 만족시키려 한다는 사실에 기초한 구체적인 선행 발견들은 다음과 같다. 먼저, 민주 국가는 거의 서로 싸우지 않는다. 다른 민주 국가와의 분쟁을 평화적으로 해결하려고 한다. 그렇다고 민주 국가가 전혀 싸우지 않는 것은 아니다. 비민주 국가를 공개적으로 경고하여 굴복시키기도 한다. 왜냐하면 자신의 대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