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임진강 수계를 활용한 통일수도 입지의 적정성 연구-파주 적성을 중심으로-
근자에 들어 남북한 관계가 순풍을 타고 있다. 그에 따라 조심스럽게 통일된 한반도의 수도입지를 어디로정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도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는
풍수
이론에 의거해 임진강 수계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임진강은 한탄강과 합수된 후 수차례 구비치고 있으며, 특히 적성지역에서는 세 줄기 물이 합수되면서 더욱 역동적인 물길을 보이고 있다. 이 지역의 산줄기는 감악산을 주산으로 하여 중성산까지 이어지고 있으며, 중성산 정상에 자리한칠중성은 천혜의 지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다. 이곳을 중심으로 국가 주요기관이 자리하고 신도시가 조성되면 한반도의 국익 최우선이라는 명제 하에 남북한 통합의 상징성. 국토의 균형발전. 대륙과 해양으로의 확장성. 신도시 조성이라는 네 가지 지리적 조건을 충족시키면서 통일수도로 적합한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