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풍수지리에서 본 고구려의 수도 안학궁성(安鶴宮城)과 장안성(長安城)의 도시계획 비교·분석
This paper analyzes and compares the city plans of the last two capitals - Anhwakgoong and Jangancastle towns of Goguryeo in Pyongyang, based on feng shui, topography of geomantic principles. In doingso, various historical documents and archaeological data were reviewed and analyzed. Findings and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During the 4th, 5th and 6th centuries, China and surrounding
[학술논문] 도로 지명을 통해 본 평양시의 도시 구조 변화 연구
...1970년대 중반 이후 지하철 건설과 함께 대성산 남서쪽 산록에 혁명열사릉, 금수산의사당과 만경대혁명사적관이 세워지고, 1980년대 개선문, 주체사상탑이 세워지면서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도시의 중심 축은 일제 강점기에 형성되었던 동~서축에서 벗어나 조선시대 평양성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남~북 방향으로 회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대성산혁명열사릉과 금수산의사당이 도시 공간의 중심을 이루고, 이곳으로부터 남서쪽으로 만경대구역의 김일성 생가로 이어지게 한 것이다. 혁명열사릉과 금수산태양궁전의 입지 설명에서 풍수지리가 언급되는 것은 백두 혈통의 권력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은 평양시를 사회주의 모범도시로 만들고 이를 주민들에게 학습시키기 위해 도로 지명에 체제 선전 내용을 반영한 것이다.
[학술논문] 통일연방국가 연구: 연방수도 입지선정 및 건설을 중심으로
...의미하는 단계적 연방통일이다. 편의상 제1단계 연합형 연방제, 제2단계 연방제, 제3단계 세부화된 연방제로 구분하고 있다. 일단 연합형 연방국가를 건설하는데 있어 “연방수도 입지선정 및 건설이라는 연구”는 중요한 핵심사항이라 판단한다. 그래서 수도입지 선정요인을 정치적 합리성, 경제적 합리성, 국토균형발전 합리성, 안보적 합리성, 풍수지리적 합리성, 역사적 합리성 등으로 수도입지의 판단기준으로 삼았다. 더불어 수도형태를 일극집중형, 다극분산형, 절충형으로 구분하고 수도건설형태로 신도시형, 신시가지형으로 분류하였다. 외국사례로 독일, 베트남, 예멘, 브라질, 미국, 오스트레일리아, 유럽연합의 수도입지선정 요인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정치적 합리성 둘째, 국토균형 합리성, 셋째 역사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