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베트남 소재 남·북한 관련 자료- 베트남전쟁기(1954~1975년)를 중심으로 -
본 논문에서는 최근까지의 1차 사료의 부재로 인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베트남 전쟁시기를 중심으로 한 베트남 소재 남북한 관련 자료를 소개하였다. 즉 ① 한국·남베트남 외교 관계수립 및 한국의 베트남 파병, ② 북한·북베트남 외교 관계수립 및 북한의 베트남전 지원 문제들에 대해 현재까지 베트남에서 이루어진 자료를 검토 및 소개하는 것이다. 베트남전쟁은 베트남역사에서 1954년부터 1975년 4월 30일까지로 정의하고 있는, 30년의 긴 역사였다. 또한 지리적으로도 베트남은 긴 나라이자 분단, 전쟁, 통일을 모두 경험한 나라이다. 때문에 베트남전쟁기를 중심으로 한 베트남 소재 자료를 검토 및 소개하는 연구는 30년의 역사에 대한 사료들을 발굴 및 수집한 것이자, 북베트남(사회주의체제)과...
[학술논문] 베트남 학계의 남ㆍ북한 연구 동향 및 쟁점: 베트남 전쟁 시기(1954~1975년)를 중심으로
Following the end of the World War II, both Vietnam and Korean peninsula ware divided. Since the 1950s, South Korea (the Republic of Korea) and SouthVietnam (the Republic of Vietnam), North Korea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and North Vietnam (the Democratic Republic of Vietnam) started to establish official diplomatic relations.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from 1964 sent South
[학술논문] 남베트남 패망 40년, 베트남전쟁과 한국
베트남 전쟁이 한국 사회에 많은 변화를 주었기 때문에 한국군의 파병과 관련된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그런데 대부분의 연구는 파병 초기 시기, 즉 존슨 행정부 시기의 한국군 파병과 그 영향에 대한 연구에 집중되었다. 기존 연구에서 또 하나 주목되는 점은 베트남 전쟁에 대한 서구 학자들의 연구가 너무나 많음에도 불구하고 베트남에서 활약한 한국군에 대한 연구는 물론이고, 한국군을 언급한 연구 역시 거의 없다는 점이다. 한국전쟁이 잊혀진 전쟁으로 불리어지고 있다면, 베트남에 파병된 한국군은 잊혀진 군인이었다. 또한 정전협정으로 마무리된 한국전쟁과 그 직후에 시작된 제2차 베트남 전쟁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역시 전무하다. 본고에서는 남베트남 패망 40주년을 맞는 시점에서 기존 연구들이 간과하고 있었던 문제들에 주목해서...
[학술논문] 베트남전쟁 시기 북한의 대외정책
... 북한에게 베트남전쟁은 궁극적으로는 북한 자신에게 가해질 안보위협을 미연에 막기 위해 어떤 식으로든 개입해야만 했던 전쟁이었다. 1960년대 초반부터 중·소 분쟁에 적극 개입하며 세계 사회주의 진영의 단결을 주장하던 북한은 1960년대 중반 들어 베트남전쟁이 과거 한국전쟁처럼 사회주의 진영과 자본주의 진영의 맞대결 성격을 띠게 되자 사회주의 진영의 ‘반제공동투쟁’을 선도적으로 주장하고 전투병 파병에도 솔선수범했다. 하지만 북한의 기대나 바람과는 달리 사회주의 진영의 분열은 갈수록 심화됐다. 반대로 일본 군국주의는 완전히 부활하자 1970년대 들어서 북한은 사회주의 진영의 반제공동투쟁을 촉구하는 목소리는 낮추고, 아시아 혁명적 인민들의 반제공동투쟁, 반미반일투쟁을 강하게 촉구했다...
[학위논문] 냉전기 북한의 자주연대 외교 연구 : 북한-베트남-쿠바 연대 외교를 중심으로
...수령관 사회정치적 생명체론 후계자론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동년 9월 9일 정권수립 20주년 기념식에서 북한은 세계혁명 전략으로 미제의 각 뜨기 전략을 제시하며 중소와 다른 세계혁명의 길을 걷고자 하였다.베트남의 경우 푸에블로호 나포로 인한 한반도 위기 상황에서 북한에 공군을 파견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했으며 쿠바도 피로써 북한을 지원하고 언제라도 지원병을 파병의사를 천명한 것에서도 쉽게 볼 수 있다. 이들 사회주의 약소국들은 ‘완전한 이익의 일체화’를 위해 체제 생존을 위해 전국가적 역량을 투입하였다. 북한은 EC-121기 격추 사건 때 방어적 성격의 선제적 승리강압론을 완성시키며 힘 억지 그리고 도발에 대한 북한의 신념체계를 완성시켜 나갔다. 다시 말해 소규모 폭력과 충돌이 억지를 생성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