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한국입국 전후 삶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연구
본 연구는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한국입국 전후의 삶의 경험의 의미를 Giorogi의 현상학적 분석을 토대로 밝혔다. 그 결과 총 326개의 의미단위와 24개의 하위경험요소, 10개의 경험요소 그리고 본질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중도입국한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가 경험한 한국전후 삶의 본질적인 의미는 ‘배려받지 못하고 홀로 버티는 삶’이었다. 제 3국에서의 경험은 ‘엄마가 없는 시간의 슬픔과 상처’였으며 한국 입국과정은 ‘제 3국 가족들의 반대에도 엄마를 찾아 한국에 옴’이었다. 한국 입국 후 경험의 의미는 ‘달라진 엄마, 달라진 환경 속에서 혼란과 갈등’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반영해 본 연구는...
[학위논문] 북한이탈여성의 중년기 이후 남한사회적응에 관한 생애사 연구 : Mandelbaum의 분석 방법론 적용
...수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북한과 남한에서의 역동적 삶을 살펴보기 위해 일반적 의미의 생애사 자료를 수집했다. 생애사 자료는 심층면담을 수행하여 구성했다. 심층면담은 1인당 5회 이상, 회당 60분 이상을 진행했다.
생애사 자료는 Mandelbaum이 제시한 삶의 영역, 전환점, 적응 순으로 분석했다. 삶의 영역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삶을 개인 사회 정신적 차원에서 분석했다.
전환점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생의 전환점과 이것을 가능케 한 개인 사회적 전후조건을 분석했다. 적응에서는 연구 참여자들의 고유한 적응양식을 분석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참여자 1의 경우 삶의 영역은 「광복 후 혁명 열사인 오빠의 덕으로 풍요로움 생활」, 「죄...
[학술논문]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한국입국 전후 삶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연구
본 연구는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한국입국 전후의 삶의 경험의 의미를 Giorogi의 현상학적 분석을 토대로 밝혔다. 그 결과 총 326개의 의미단위와 24개의 하위경험요소, 10개의 경험요소 그리고 본질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중도입국한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가 경험한 한국전후 삶의 본질적인 의미는 ‘배려받지 못하고 홀로 버티는 삶’이었다. 제 3국에서의 경험은 ‘엄마가 없는 시간의 슬픔과 상처’였으며 한국 입국과정은 ‘제 3국 가족들의 반대에도 엄마를 찾아 한국에 옴’이었다. 한국 입국 후 경험의 의미는 ‘달라진 엄마, 달라진 환경 속에서 혼란과 갈등’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반영해 본 연구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