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20년대 후반~1930년대 초반 함경남도 갑산 지역의 항일운동
...추동하기 위해서 외부 세력과의 연계를 도모한 것이었다. 항일인민전선인 조국광복회와 관련된 기존연구의 관점에서는 항일무장투쟁세력의 활동에 초점을 맞추거나 항일인민전선의
한만
국경
지대의 조직 확대를 부각시킨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본 연구는 국내 항일운동이 세력인 박달과 박금철이
한만
국경
지대의 항일무장투쟁세력과 연대하며 당시 국내 항일운동의 새로운 방향을 결정하여 역량을 집중시킨점에 주목하였다. 이와 같이 국내 항일운동 세력인 갑산공작위원회가
한만
국경
지대의 항일무장투쟁세력과 연대해 나가기로 함으로써 국내의비무장 항일투쟁세력과
한만
국경
지대의 무장투쟁세력 간의 연계를 바탕으로 한 항일운동이 추진될 수 있었다. 박달과 박금철은 항일운동의변화를 위한 동력을 외부에서 찾는다는 방침을 독자적으로 결정하였다. 이 뿐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