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망이론 관점에서 본 북한의 ‘적대적 두 국가론’
...유지’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우선, 김정은은 체제 유지를 위해 더욱 폐쇄적인 접근 방식을 ‘이익영역’으로 인식하고 있다. 반면, 자본주의 및 한류의 침투, 시장화의 확산, 다양한 정보의 공유를 포함한 개혁 및 개방은 ‘손실영역’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김정은은 남한의 평화통일을 흡수통일로 인식함에 따라, 현재 남한과의 통일 논의가 김정은 체제 유지에 있어 ‘손실영역’으로 평가되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에 따라 김정은은 선대의 유훈에 따른 적화통일 정책을 완전히 이행하는 데 한계가 존재함에 따라, 현 상황에 견주어 일시적으로 조정을 시행하고 있을 뿐 무력 통일 목표는 여전히 변함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학술논문] 북한의 대외정책 기조와 전망
한반도는 탈냉전이라는 역사적 변화에도 불구하고 냉전적 구조가 해제되지 않고 북한의 대남도발은 계속되고 있다. 북한의 천안함 폭침과 연평도 포격도발은 파국적인 남북관계 초래와 동북아 불안정의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북한의도발은 미국과 한국 및 북한 내부 요인이 북한의 의사결정체계에서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군사․비군사적 수단에 의해자행되고 있다. 북한은 한반도의 적화통일이라는 전략기조을 유지하기 때문에 공세적으로 지속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북한의 대외정책은 지속성과 상황에 따라 변화하는 양면성을 지니고 있다. 북한 대외정책의 목표와 이념은 비교적 일관성 있게 지속하고 있지만, 정책전개의 전략·전술과 행동 유형에서는 상당한 변화가 있다. 즉, 지속성은 곧 국가 체제유지와 국가 생존 명분의 문제이며,...
[학술논문] 분단체제극복을 위한 남북한정부의 과제
...기적’으로 불리어 왔으며 가장 산업화된 OECD 국가중의 하나가 되었다. 이에 비해 북한은 ‘무력적화통일 노선’을 제일의 기치로 삼아 무력도발과 핵개발로 한반도와 동북아의 평화에 위협이 되고 있다. 한국이 ①자유민주·시장경제체제 하의 성공적 산업화·민주화의 추진, ②세계속의 한국의 위상과 역할의 증대라는 체제적 특성을 보이고 있음에 비해, 북한은 ①시대착오적 수령독재체제, ②고도의 중앙집권적 계획경제, ③변함없는 대남무력통일전략과 핵개발 등과 같은 체제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분단체제극복을 위한 우리정부의 과제로는 ①한반도 프로세스를 통한 남북관계의 정상화, ②작은 통일에서 큰 통일로의 지향, ③상호존중에 기초한 호혜적 남북관계의 발전,...
[학술논문] 김정은 시대의 화전양면전술 연구와 대응전략
북한 김정은 정권은 체제생존과 사활적 이익을 위해 대를 이어 화전양면전술을 사용하고 있으며 최종목표는 ‘무력에 의한 한반도의 적화통일’이다.이러한 대남전략기조 하에 남한 내의 여건을 혁명에 유리하도록 만들고 ‘결정적 시기’를 조성하기 위해서 끊임없이 사용해온 전술이 ‘화전양면전술’이다. 화전양면전술이란 상황이 불리할 경우에는 ‘방어적 입장’을 취하면서 대화를제의하고 상황이 유리하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공격적 입장’으로 돌변하여 무력으로 상대방을 공격하는 전형적인 기만전략과 강압전략의 혼합형이다.이러한 전술을 구사할 수 있는 명백한 이유는 ‘핵 억지력’보유에 따른 군사적 자신감이다...
[학술논문] 제7차 당대회 후 북한의 대남 군사정책 전망
...논문은 제7차 당대회 이후 북한의 대남 군사정책에서 어떠한 변화가 발생하고 있느냐를 분석해보고자 하는 목적에서 작성되었고, 따라서 ‘Ends = Ways + Means’라는 방정식에 근거하여 Ways를 추정해 보는 방식을 사용하였다. 본 논문의 분석 결과, 북한 대남 군사정책의 목표(ends)는 ‘전 한반도의 공산화’ 또는 ‘적화통일’로서 김일성 시대부터 변화하지 않았고, 핵무기를 새로운 수단(means)으로 추가함으로써 더욱 확고해지고 있다. 방법(Ways) 측면에서 북한은 핵능력을 적극적으로 과시함으로써 남북관계에서 주도권을 확보하려고 할 것이고, 핵무기 사용이나 위협으로 무력통일을 추구할 수도 있다. 무수단 미사일의 시험발사에서 드러난 바와 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