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다차원적 해양안보 위협과 한국의 전략적 선택:한국 해군의 전략과 전력 발전방향을 중심으로
...따른 한국 해군의 전략과 전력 발전 방향을 논의하는 것이다. 21세기 한국 해군은 한반도에서의 북한 위협, 동북아에서의 주변국 위협, 그리고 국제지역에서의 비전통적 위협이라는 다차원적 위협에 직면해 있다. 이러한 삼중위협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한국 해군은 위협대상에 따른 맞춤형 전략을 균형적으로 수립해야 한다. 즉, 북한 위협에 대비하기 위하여 연안에서 해양통제를 달성하여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고 전면전시에는 전쟁승리에 기여하며, 주변국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근해에서 해양균형을 달성하여 주변국과의 해양분쟁을 억제하고 분쟁 발생시에는 주도권을 선점해야 하며, 비전통적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원해에서 적극적인 해양협력을 수행해야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3축 균형전략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동함대의...
[학술논문] 아일랜드 사례를 통한 한반도 해양협력 기반 평화전략 모색
본 연구는 갈퉁의 평화론, 인간안보론, 기능주의 이론을 통합한 분석틀을 통해 아일랜드 록 포일 해양협력 사례를 분석하고, 분단지역 해양협력의 평화전략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아일랜드는 1920년 분할 이후 32년간 관할권 공백으로 인한 인간안보 위기가 정치적 대립을 넘어선 실용적 협력의 동력으로 작용했으며, 1952년 포일어업위원회(FFC) 설립을 통해 ‘정치 유보-실용 협력-제도화’의 단계적 평화구축 모델을 구현했다. 특히 더 트러블즈 시기에도 제도적 관성을 유지하며 1998년 벨파스트 협정의 토대가 되었다. 한반도 적용 시 아일랜드와 달리 주권 상호 불인정 구조와 대북제재·미중 전략경쟁이라는 외부 제약이 존재하나, 기후 재난과 해양 환경오염이라는 공동 위협은...
[학술논문] 한반도 평화체제 이후 남북한 해양협력 방안: 수산업, 해운업, 해상유전 공동개발을 중심으로
연구목적: 본 연구는 향후 남북 간 교류와 협력이 본격적으로 진행될 때를 대비해해양 분야에서 현실적으로 추진 가능한 사업을 추리고 우선순위를 정하는 것을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수산업, 해운업, 해상유전 공동개발 분야를중심으로 남북한 해양협력을 위한 상호 법제의 이해, 자원이용과 절차, 안보적요소 등과의 연계 해석을 위한 지식기반을 제시한다. 연구의 중요성: 남북 간 해양협력은 한반도의 평화뿐만 아니라 동북아시아의해양질서를 변화시킬 수 있다. 한반도 통일과 관련해 남북 간 해양 교류와 협력은 중요한 시발점이 될 것이다. 해양문제는 난이도가 다른 의제들을 포함하고있어 수월한 의제부터 협력을 시작해 신뢰를 쌓아 가면서 어려운 의제로 옮겨갈수 있다. 연구방법론: 본 연구는 북한과 남한의 해양 관련 법령과...
[학술논문]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한반도 해양오염 방지를 위한 남북한 법적 협력 방안 - 남북한 통합 해양오염관리법제를 중심으로 -
...측에도 효율적인 미세플라스틱에 의한 해양오염관리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에 본 논문은 한반도 해양오염 방지를 위한 법적 협력 방안으로 ‘남북한 통합 해양오염관리법’을 제안한다. 과거 피상적이고 구속력 없는 남북한 해양환경 협력에 비해 남북한 통합 해양오염관리법의 도입은 비교적 비이념적이며 시의성 또한 높다는 점에서 실현 가능성이 충분하며, 통일을 준비하는 본격적인 법통합의 시작이라는 정당성 또한 인정된다. 남북한 통합 해양오염관리법은 ‘한반도 해양오염 방지’라는 거시적 공통 목표하에 단계적 계획을 통해 마련하는 것으로 한다. 우선 1단계에서는 남북한이 공동으로 한반도 해양오염 실태를 연구조사하고, 기본적인 인프라를 마련한다. 그 후 조사결과를 토대로 규제기준이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