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의 소련영화 수용과 영향 1945~1953
...국가형성에 많은 영향을 주었던 소련영화의 존재를 지워버린다. 본 연구는 초기 북한국가와 북한영화 형성과정에서 소련영화의 수용과 영향을 당대 신문, 잡지의 담론을 활용한 실증적 접근을 통해 규명한다. 첫째, 북한 인민들의 소련영화 수용을 통해서는 ‘해방군’ 소련에 대한 무한한 감사, 발전과 번영의 소련 이미지를 통한 미래 전망의 상상을 살펴본다. 둘째, 소련의 스탈린주의 문예이론이 북한영화에 끼친 영향을 탐구한 선행연구들에 기반을 두면서도, 실제 북한영화에 끼친 소련영화의 영향이 절대적이지는 않았음을 <내 고향>(1949)에 대한 담론분석을 통해 거론한다. 소련영화의 영향을 부정하기보다는 김일성의 항일 민족주의라는 토착화한 문예전통이 이미 하나의 맹아로서 형성되고 있었음을 설명한다.
[학술논문] 해방의 선택과 소설의 선택 - 해방기 현경준 소설 「불사조」의 현실 인식
...한다. 영웅적이고 긍정적 인물을 본받아 배우는 것을 이상으로 하는 창작방법은 혁명적 낭만주의에 가까워서 북한 문학의 도식주의적 경향을 드러낸다. 현경준의 「불사조」는 해방 직후 일련의 북한의 문예정책을 따르고 있는 소설인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소설 속 영웅적 인물이 유치장 안의 다른 유치인들과 융합되면서 주체적 권력체로서의 ‘인민’으로 환원되는 모습에서는 개인의 존재보다는 공동체성이 두드러진다. 또, 유치인들 사이에서 발견되는, 사상적 동지애에 혼융된 형제애, 항일의 투쟁 의지와 견줄 만 한, 농부로서 갖는 농사일에 대한 애정과 갈증은 해방기 남과 북의 민족주의 담론에서 벗어나 원시적이고 전통적인 민족 정서를 환기하며 남과 북으로 양분되었던 해방기 민족 담론에서 비켜 서 있다.
[학위논문] 북한 역사소설 연구
...1930년대에 우리나라에 수용된 사회주의 사실주의를 다소 변형하면서 이를 지향하고 있다. 북한 역사소설의 경우 역사적 진실성을 전형화하여 인간과 사회 관계의 총체성을 당성 · 계급성 · 인민성의 견지에서 형상화하고 있다. 북한 역사소설에는 사실주의와 민족주의 추구의 경향이 일관되게 유지되고 있다. 사실주의 경향은 사회주의 사실주의와 북한식 사회주의 사실주의의 변형인 주체 사실주의 창작방법으로 이어지고 민족주의 경향은 민족 고유의 특성을 절대 기준으로 삼아 문학 내용뿐 아니라 형식에서도 이를 발현하고자 하는 의지에서 살펴볼 수 있다. 북한 역사소설의 창작방법은 사회주의적 애국주의에 관한 역사소설과 혁명적 대작에 관한 역사소설, 주체 사실주의에 관한 역사소설로 변모된다. 북한 역사소설은...
[학위논문] 허헌연구 : 북한정권 수립과정에서의 허헌의 역할
...남한에서는 금기시하는 인물이 되어 버렸다. 하지만 항일투사(抗日鬪士)로서 활동한 그의 헌신적인 생애는 존경의 대상이 되기에 충분하다고 본다. 이러한 시기에 허헌은 민족변호사로서 애국적 민족지도자로서 민족주의적 사상을 굳건히 지키며 도탄에 빠진 조선을 일본으로부터 독립시키기 위해 헌신하였다.
허헌은「보성전문학교」를 거쳐 일본「메이지(명치)대학」 법학부를 졸업한 뒤 1908년 이른바 「광무변호사법」에 의거한 제1회「변호사시험「에 합격해 변호사가 됐다. 그러나 경술국치를 당하자 ‘식민지배아래 변호사가 무슨 뜻이 있느냐’ 며 낙향해 사실상 은둔의 생활을 보냈다. 1919년의 「3·1 운동」은 만 34세의 허헌을 대표적 항일변호사로 만들어 주었다. 그는 일제가 전혀 예상하지...
[학술논문] 북한도교의 전승과 재구성
...보급의 어려움을 전통의학을 통해 극복하려한 것으로 보인다. 셋째 북한의 동학과 대종교 연구는 주체사상의 확립이라는 목표 아래 민족주의를 고양시키는 민족종교로서 연구되고 있다. 민족고유의 사상에 대한 논의 확대를 위해 고유의 신선사상이 등장한다. 넷째 북한 권력은 조선도교 메타포의 친연성(親緣性)을 활용하여 권력세습의 정당성을 확보하고자 김일성 김정일과 관련된 도교신화를 새롭게 생산하고 있다. 이러한 지점은 남북분단 후 북한의 민족주의가 열강 사이에서 체제유지를 위한 생존과 결사의 수단이라는 측면에서 논의될 수 있다. 요컨대 북한 도교는 주체사상의 확립이라는 목표 아래 ‘민족주의 강화’ 요소로서 변용되고 있는 것이다. 남북한의 전통 사상과 문화를 근간으로 하는 비교연구는 평화담론 확대를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