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환유를 통한 국제정치 텍스트의 해석: 유럽연합의 대북 전략 문서를 시험적 사례로
국제정치학이 기존에 다뤄왔던 외교정책 이해는 주로 발생 사건의 인과 관계에 기반한 분석적, 실증적 접근이었다. 해석학은 오랫동안 신학이나 문학에서 깊게 연구된 바 있으나 지식사회의 기반이 텍스트에 크게 의존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제정치학에서는 오랫동안 거의 관심을 받지 못하였다. 이는 해석학이 가진 예술적, 창의적, 신화적 속성 때문인 듯하다. 또한 이해보다는 설명을 추구하려는 국제정치학의 현실적 요구와도 관련이 있다. 이 글은 텍스트 해석학에서 중심이 되는 이해의 문제가 인지언어학에서 자주 언급되는 ʻ개념적 혼성ʼ 이론 속에서 함의를 가지고 있다는 전제에서 출발한다. 특히 개념적 혼성이론은 구조-단위 중심의 기존의 인식론적 사유를 초월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유럽연합의 외교문서(텍스트)를 사례로 국제사회의...
[학술논문] 쉼터 거주 경험이 있는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사회 적응에 대한 연구
본 연구는 쉼터에서 거주한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쉼터에서의 생활경험이 남한사회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탐색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석학적 질적 연구방법(interpretive qualitative research)을 활용하였으며, 자료수집을 위해 연구참여자 총 7명과 개별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북한이탈주민 쉼터퇴소 후 현재는 지역사회에서 거주하고 있는 북한이탈주민이다. 본 연구결과 핵심주제는 1)쉼터의 의미: “터닝 포인트” 2)안정적인 일자리 찾기 3)사회적 관계 심화 추구 4)정체성 재확립: 자아의 확장으로 도출되었다. 쉼터에서 생활하는 동안 북한이탈주민들은 가족적인 돌봄을 제공받았으며, 인생의 터닝 포인트가 될 긍정적인 경험을 했던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쉼터퇴소...
[학술논문] 남북한 민법의 기능적 비교성에 관한 연구
...일반적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일반적 기능은 비록, 양 법률질서가 완전히 다르게 형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기능적으로는 계약에 의한 소유권의 이전이라는 유사성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이외에도 기능에 따른 민법상의 법률행위들을 여러 유형으로 분류설명이 가능하고, 또한 남한의 민법과도 비교 가능함을 규명하였다. 이를 통하여 특정제도의 본래적 기능 측면에서 그에 관한 규정들의 명확화의 가능성도 규명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연구를 통하여 사회주의 민법에 관한 구체적인 해석학적 분석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이는 법학자들뿐만 아니라 법률 실무가들의 업무에 기본적인 실무자료를 제공하게 될 것이며, 향후 남한과 북한의 민법에 관한 연구는 추가적으로 민법의 공적 기능이 보충되어야 할 것이다.
[학술논문] 북한출신 사회복지사의 실천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 “두 길 사이를 가로놓으며, 함께 살아냄” -
본 연구는 북한출신 사회복지사의 실천경험의 본질과 의미를 탐색하여, 사회복지사로서 그들의 문화적 인식과 성찰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북한출신 사회복지사 5명을 연구참여자로 하여 심층 면접을 진행하였으며, 밴매넌(van Manen)의 해석학적 현상학 연구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출신 사회복지사들이 경험한 사회복지 실천 경험의 본질적 주제는 “두 길 사이를 가로놓으며, 함께 살아냄”으로 나타났다. 탈북배경을 가진 북한출신 당사자라는 문화적 동질성과 사회복지사라는 전문성 사이에서, 자기인식과 성찰을 반복·재구성하면서 고유한 실천의 의미를 찾아 나갔다. 사회복지사로서 북한이탈주민과 남한 주민들과 상호작용 속에 나타난 ‘어긋남과 틈새를 메꾸고...
[학위논문] 북한의 종교정책 변화에 관한 연구 : 인간중심철학의 대두을 중심으로
...인민대중의 지위와 역할에 대해서는 원칙적인 동의를 하면서도 인민대중의 독자적 지위와 역할을 인정하지 않고, 인민대중은 수령의 영도에 따를 때에만 의미가 있다는 점을 부각시켰다. 결국 황장엽의 인민대중중심주의는 사상 이념적 방향제시에 그치고, 정책적 차원의 직접적인 변화요인으로 작용할 수는 없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정책 변화의 배경을 이루는 인본주의에 대한 해석학적 원리로 작용하여 주체사상에 입각한 북한종교정책 변화의 주된 요인으로 작용했음은 분명하다.
북한은 7·4남북공동성명 발표 이후 해외에서부터 종교인들과의 접촉을 시도하여 실제로 80년대 이후에는 상당한 진전을 이루게 되었고, 특히 90년대에 접어들면서부터는 이에 적용되었던 이념적 제약도 상당히 완화되어 그 폭을 넓혀 나갔다. 주체사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