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관계의 이론적 탐색: 존재론적 안보와 경합적 공존을 중심으로
...안보는 주관적 자아
정체성에 대한 안보로서, 국가의경우 일상의 반복과 학습을 통해 예측 가능한 기초신뢰체계를 구축하고, 전기적 서사(biographical narratives)라는 수단을 통해
정체성을 유지해나간다는 전제에 입각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남북관계의 본질은 각기 존재의 정당성을 위해 서로가 적대·경쟁 또는 타협의 서사를 구축하며 벌이는 ‘주권게임’이라 할 수 있다. 존재론적 안보 관점에서 데탕트는 반미반제국주의와 반공의 서사를 바탕으로
정체성의 경쟁을 해 온 남북한 모두에게존재론적 위기인 동시에 기회를 가져왔고, 2018년 초 “평창 임시 평화체제”의 굴곡 또한 근본적으로 ‘
핵보유
정상국가’
정체성을 추구했던 북한의존재론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