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역사관에 따른 남북한 향가 수용의 차이
...하였고, 북한은 통일신라의 정통성을 부정하고 고려에 정통성을 부여하였기 때문에 부정적 측면으로 제시 하였다. 이로 인해
향가
수용 양상이 다르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남북한 국어 교과서를 통해
향가
수용 양상이 어떻게 나타났는지 살펴보았다. 남한은 통일 신라 전·후의 작품을 국어 교과서에 고루 실었지만, 북한은 신라 통일 전 작품만을 수록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북한 교과서의 애매한 문장으로 남한 연구자에게 분류의 오류가 있었던 ‘정읍사’가 북한의 ‘교수 요강’, ‘고전 강독’의 두 책을 통해 살펴본 결과
향가로 분류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통일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북한의 한정된 자료를 통해 남한과 북한의 합일점을 찾아 교육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