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체제보장과 비핵화: 안전보장 패러독스와 북한의 전략적 도전
체제안전보장으로 북한비핵화를 견인할 수 있는가? 본 논문은 대북안전보장·북한 비핵화교환공식이 현저히 낮은 실효성과 한반도 현상파괴 위험성으로 인해 진정성 있는 비핵화를견인할 효과적 방안이 될 수 없다고 판단한다. 안전보장, 특히 불가침을 근간으로 하는 소극적 안전보장의 기본성격은 결국 ‘약속’이다. 당사국들 모두 확장보다 안보를 추구하는 현상유지 희망 국가들인 경우에 한해 기망(欺罔)위험 없이 성립될 수 있는 계약이다. 현상도전적인 북한에 대한 안전보장은 오히려 핵무장결의를 굳혀주는 역효과를 파생시킬 위험성이 농후하다. 더욱이 북한은 국가 안전보장을 체제보장으로 대체하는 선제적 용어공세전술을 구사, ①미국 일방주의 정책의 잠정적 피해자로 행세하며 핵무장의 정당화 및 기정사실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