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현상타파 국가의 기정사실화 전략: 일본 제국 사례 분석과 한국 군사전략에의 함의
...주목받지 못한 채 다양한 문헌에 흩어져 산발적으로 이루어져 온 기정사실화(fait accompli) 전략에 대한 논의를 통합하고 이론적 체계화를 시도하였다. 구체적으로는, 기정사실화 전략의 정의를 재정립하고 전개 과정을 가정-현상변경-순응의 단계로 개념화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1930~1940년대 일본 제국의 군사적 팽창을 사례 연구함으로써 현상타파 국가가 기정사실화 전략을 실행하는 방식과 특징을 규명하였다. 나아가, 사례연구 결과를 토대로 기정사실화 전략의 유형을 ‘탈취형’, ‘선점형’으로 분류하고, 이를 한반도 상황에 적용하여 전개 가능한 북한의 기정사실화 전략 위협을 진단하였다. 진단 결과, 서해 수역과 한강하구 지역이 북한의 기정사실화 위협에 취약할...
[학술논문] 북한의 핵억제론: 교리, 전략, 운용을 중심으로
...“핵억제”를 주창한 이후 국가주권 보호와 전쟁방지가 목적이며 핵이 협상대상이 아니라고 일관해왔다. 핵억제 주장은 “핵의 평화적 이용”이라는 과거의 수사에서 크게 선회한 것으로서, 핵억제 필요의 근거로 9.11 이후 미국이 채택한 선제공격론을 들고 있다. 북한의 핵교리는 2013년 4월 핵보유법제화와 여타의 정부 성명 및 매체들을 통해 구체적인 실체를 드러냈다. 북한의 핵억제는 핵능력의 비대칭성으로 미국의 확장억제에 비교되지 않아 억제력의 효용은 제한된 반면, 모호성을 통한 위협의 고저조절, 합리적 비합리성의 연출 등으로 일정한 효과를 노리고 있다. 북한의 핵운용은 핵군축협상 주장과 군사적 균형 변화 추구 등으로 한반도 및 동북아에서의 <현상타파> 전략을 꾀하고 있다. 본...
[학위논문] 韓·美 安保協力體制下에서 美國의 韓半島 危機管理戰略 硏究
...있어 至上명제이다. 따라서 활성화되고 있는 現今의 남북한 교류·협력 기조는 유지시키되 북한의 위협이 엄연히 존재하고 있음을 인식하여 확고한 안보정책을 우선시하고 한·미 연합작전체제를 굳건히 유지한 상태에서 통일정책을 추진해 나가다 보면 한반도에도 통일의 날이 반드시 도래할 것이다. 통일의 전개 과정은 현상태로부터 평화적 현상타파기를 거쳐 통일국가건설기로 변화되어 갈 것이다. 이 과정에서 위기요인은 ①북한 및 주변국으로부터의 안보상 위협, ②북한의 핵 및 미사일 등 대량살상무기(WMD)에 의한 위협, ③북한의 내부분열 또는 체제붕괴등의 우발사태 발생, ④평화의 정착 및 통합과정에서의 혼란발생 등이다. 이러한 위기요인을 평화적이고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가기 위해서는 미국의 지원과 협조가 필수적이다...
[학술논문] 김정은 시대 노동당 규약 변화와 수정주의 국가 북한의 새 정치 노선
... 권능에 대한 강조 즉 국가 예찬이 “사회에 대한 공산당의 대체”라는 공산주의 최대강령을 무색케 하고 있기 때문이다. 동시에 김정은 남매가 북반부 ‘혁명론’과 남반부 ‘발전론’을 연결하는 매개 고리였던 전국혁명론을 폐기하고 두 개 국가론을 강조하고 있는 것 또한 민족을 국가로 대체하는 또 다른 국가주의적 현상이다. ‘현상타파’ 국가로서 수정주의 북한이 지향하는 바가 단순하지 않음은 그래서이다.
[학위논문] North Korea as a revisionist state : leaders' political psychology of nuclear provocations
...주체사상의 발전과정을 설명한다. 또한 이 주체사상이 어떻게 수령 개인숭배와 결합되어 더 공고화되었는지 그 배경을 설명한다. 이를 통해 북한의 핵무력 추구가 그 현상타파적 국가정체성과 통일혁명전략의 당연하고 타협 불가능한 결과일 뿐임을 설명한다. 그 다음, 이 설명을 뒷받침하기 위해 정치/인지심리학적 분석도구들을 이용하여 북한지도자의 “국가정체성인식”과 “운영코드”를 도출한다. 그 결과 본 연구는 김정은의 “적대적 민족주의”(oppositional nationalism)와 “현상타파적”(revisionist) 성향이 지난 두 지도자들보다 현저히 더 강해진 것을 밝히고 그의 집권 이후 핵 도발 증가를 설명한다.
이 연구결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