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여성의 청소년자녀 양육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본 연구는 북한이탈여성의 청소년자녀 양육 경험을 내부자 관점에서 심층적으로 탐색하고자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청소년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북한이탈여성 8명으로, 자료수집은 심층면담을 통해 이루어졌고, 자료분석은 Giorgi의 현상학적 4단계방법을 따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여성의 청소년자녀 양육경험은 140개의 의미단위, 32개의 하위구성요소, 9개의 구성요소로 분석되었으며, 최종 도출된 구성요소는 ‘쉽지 않은 남한 사회로의 진입’, ‘남한사회적응의 어려움’, ‘과다한 양육부담 조건에 처함’, ‘남한의 자녀교육 현실에 부딪힘’, ‘가중된 발달진통 겪는 청소년 자녀양육의 어려움’...
[학술논문] 북한이탈여성 이동(移動)의 재해석 : 노마드(nomad)로서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 연구는 북한이탈여성들의 이동을 재해석하는 과정을 통해 이들의 새로운 정주지인 남한사회에 어떤 의미로 자리매김할 수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9명의 연구참여자와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으며, 현상들의 통합적인 구조는다음과 같았다. 우선 노마드로서 연구참여자들은 생명력 회복을 위한 도주를결정하면서 아시아 각국을 이동하였다. 이 범주에서 연구참여자들의 추상적진술을 바탕으로 한 주제들은 ‘일상의 코뚜레’, ‘무희망’, ‘방랑의 원초적 열망’, ‘인간 존엄성의 상실’ 이었다. 다음으로 연구참여자들의 역동적 이동은노마드적 사유와 변화, 즉 자신들의 가치와 삶의 방식을...
[학술논문]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한국입국 전후 삶의 경험에 관한 현상학연구
본 연구는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의 한국입국 전후의 삶의 경험의 의미를 Giorogi의 현상학적 분석을 토대로 밝혔다. 그 결과 총 326개의 의미단위와 24개의 하위경험요소, 10개의 경험요소 그리고 본질적 의미를 도출하였다. 중도입국한 제 3국 출생 북한이탈주민 자녀가 경험한 한국전후 삶의 본질적인 의미는 ‘배려받지 못하고 홀로 버티는 삶’이었다. 제 3국에서의 경험은 ‘엄마가 없는 시간의 슬픔과 상처’였으며 한국 입국과정은 ‘제 3국 가족들의 반대에도 엄마를 찾아 한국에 옴’이었다. 한국 입국 후 경험의 의미는 ‘달라진 엄마, 달라진 환경 속에서 혼란과 갈등’으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반영해 본 연구는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의 교류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과 남한주민의 교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한에 정착한 지 1년 이상 경과한 북한이탈주민 10명 및 북한이탈주민과 교류 경험이 있는 남한주민 10명을 대상으로 개방적이고 반구조화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에 따라 면접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북한이탈주민의 남한주민과의 교류 경험은 17개의 주제와 6개의 주제군, 3개의 범주로 분류되었다. 3개의 범주는 각각 ‘긍정적 측면’과 ‘부정적 측면’, ‘변화된 측면’으로 명명하였다. ‘긍정적 측면’은 ‘따뜻함’이었으며, ‘부정적 측면’에는 ‘거리감’...
[학술논문] 탈북 간호대학생의 학업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임상실습 경험을 중심으로
...핵심역량을 함양시키는 가장 중요한 간호교육 과정이다. 현재, 국내에서는 다양한 사회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이 간호대학에 진학하는 수가 증가하였으며, 탈북 간호대학생들도 이에 해당된다. 증가하는 진학률과 더불어 탈북학생들의 학업적응에 대한 문제가 이슈화 되고 있다. 이에 탈북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과정에서 경험하는 실제적 본질과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S시 4개 대학교의 탈북 간호대학생 9명이었고,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12월부터 2015년 6월까지였다. 수집된 자료는 Colaizzi(1978)의 현상학적 분석방법과 절차에 따라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탈북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경험은 ‘언어의 장벽에 가로막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