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성과 친밀감의 연도별 변화와 영향 요인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친밀감과 수용성을 높인다는 연구 결과는 한민족으로서 북한이탈주민을 이해하고 범주화하는 경우 민족정체성이나 민족적 자금심의 향상과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친밀감이 정적 상관관계가 있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여성보다 남성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수용성과 친밀감이 높다는 분석 결과는 선행연구들과 유사한 결과이며, ‘
현실경쟁이론’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태도를 설명하는 데 적합함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한국경제에 대한 만족도가 높고 현 정권의 국정운영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친밀감이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는 ‘사회적 위협 인식’이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부정적 태도를 강화한다는 선행연구의 결과를 지지한다. 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