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근현대사에서 공생적 관점의 도입과 협동조합운동사
...분단과 갈등, 자본주의의 확대라는 관점에서 보면 이런 균형을 만들어가려는 움직임은 잘 보이지 않는다. 이 연구는 일제하 신국가건설론과 남북한 협동조합운동의 흐름을 검토하면서 한국근현대사 속에서 공생사회를 지향하는 움직임이 어떻게 맥락화되었는가를 살펴본다. 해방 후 남북한에서 제기되었던 협동조합정책은 일제하에 형성된 여러 세력들의 국가론 / 경제론과 연결된 협동조합론 사이의 협력과 경쟁의 과정이자 결과물이었다. 그리고 남과 북의 경제체제는 공통적으로 협동조합을 사회의 기초에 놓고 있다. 특히 북한의 인민민주주의체제와 남한의 제헌헌법에서 제기하는 균등경제체제는 토지개혁과 협동조합, 도시와 농촌(공업과 농업) 사이의 생산물교환체계, 노동권 보장, 중요산업국유화 등 공유와 공생사회경제를 실현하고자 했던 시도들이었다.
[학술논문] 협동조합 정책과 법제의 개선
...삶을 위협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적 연대경제의 주체로서 협동조합에 대한 기대는 아주 크고 이에 부응하여 2012년말 협동조합기본법이 제정되었다. 그런대 협동조합 설립을 허용하는 법제만으로 협동조합이 활성화될 수 있는 것도 아니며 게다가 협동조합이 우리사회에 제대로 생장할 수 있기에는 협동조합기본법 자체가 상당히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협동조합기본법은 그야말로 모든 종류의 협동조합의 모법으로서 협동조합에 관한 기본적 사항, 정부의 책임, 협동조합의 책임, 협동조합 촉진과 이를 구현하기위한 재정 및 금융 등의 주요정책수단 등을 기본적인 사항을 포함해야 한다. 협동조합들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생태계조성이 필요하고 무엇보다 협동조합을 위한 지원금융체제의 구축이 그 중 핵심적 요소라 할 수 있다....
[학술논문] 1945~1948년 북한 소비조합 정책의 전개
After the liberation, the North Korean society was facing full-scale changes. The Socialists were starting to create a new order, based upon the North Korean Labor Party and the newly established People’s Committees. Changes, which the Joseon people had never before experienced, started to affect the North Korean people’s lives at the most minute levels, not only in Pyeong’yang but
[학술논문] 사회주의가 북한 어민의 풍습과 노동관행에 미친 영향
...국유화 조치를 취하면서도 개인상공업의 존재를 인정하면서 생산력 발전을 추진하였고, 어업분야는 중소어업을 중심으로 발전하고 있었다. 당시 반제반봉건 인민민주주의 개혁의 일환으로 북한정권이 추진하였던 수산업 정책은 미신을 타파함으로써 어민들의 과학적 인식의 토대 아래 수산업이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닦고, 국영기업소와 수산합작사를 활성화하여 어민들이 국영 및 협동조합 조직의 우월성을 이해하고 자발적으로 사회주의 협동화의 길로 들어설 수 있도록 간접적으로 유도하는 것이었다. 전쟁 이후 사회주의화를 추진하면서 북한은 일천한 생산력 수준에서 사회주의를 건설해야 하는 문제에 봉착했다. 북한은 생산력에 기반한 생산관계의 변화라는 사회주의의 일반적인 경로를 따르지 않고, 생산관계의 변화를 통해 생산력을 추동한다는 ‘우리식...
[학술논문] 북한 사회주의 농촌테제의 등장 배경
...추진하였다. 노동자와 농민의 계급적 차이를 제거하고, 협동조합적 소유를 전 인민적 소유로 전환시킴으로써 생산력 발전을 추동하여 농촌 현실과 사회주의 이상과의 괴리를 극복하는 것이 사회주의 농촌테제의 목표였다. 이를 위해 북한정권은 협동조합을 협동농장으로 변모시켰다. 북한정권은 농업이 가진 특성과 협동조합이 갖는 독자성을 인정하고 사회주의 안에서 끌어안기보다는 농업, 농민, 협동조합의 특징을 산만하고 과도기적이며, 불안정한 것으로 보고 공업, 노동자, 국영 시스템을 기준으로 균질화 함으로써 농민의 사상개조와 농업생산력 발전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협동농장은 소유의 형태는 협동조합적 소유였지만, 운영 방식은 국영농장과 다름이 없었다. 이 과정에서 농민들은 농업협동조합 속에서 자율적인 운영과 연대를 실현하는 존재가 아니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