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초등학생의 정치·사회적 이슈 대화 및 토론 경험 분석: 청소년 시민성 교육에의 시사점
이 연구는 초등학생들의 정치‧사회적 이슈에 대한 대화 및 토론의 경험을 분석하여 청소년 시민성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초등학생들이 자신들의 일상세계 속에서 어떤 정치·사회적 이슈를 중요한 이슈로 인식하고 있는지, 이와 관련하여 어디서 정보를 얻고 누구와 어떤 대화를 나누는지, 또 이슈 대화 및 토론 과정에 어떤 방식으로 대응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 지역의 6개 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5, 6학년 학생 154명이 작성한 이슈 노트와 설문지를 질적 분석과 양적 분석을 결합한 혼합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들은 세월호 침몰, 북한문제, 학교폭력과 같이 시의적이며 일상의 안전을 위협하는 이슈들을 중요한...
[학술논문] 2012년 북한 외교정책의 기본이념 변경과 혼합에 관한 단상
...기본이념은 1988년 9월 이후 2021년 6월 현재까지 자주, 평화, 친선이다. 다만, 2012년 신년 공동사설 등 일부 자료에서 한시적·예외적으로 자주, 친선, 평화를 언급하였다. 본 연구는 먼저, 변화의흐름을 추적하고자 북한의 당 기관지인 『로동신문』을 주요 텍스트로 활용하였다. 다음, 해당 사례가 갖는 의미를 당시의 북한적 상황과 연관 지어 귀납적 방법으로 추론하였다. 연구 결과 2012년에 자주, 친선, 평화가 등장하였지만 기존의 자주, 평화, 친선이 배제된 것은 아니었다. 두 기본이념은 혼합적으로 사용되었다. 외교정책의 기본이념이 변경된 가장 중요한 이유는 2011년 김정일 위원장의 중국, 러시아 방문을 들 수 있다. 이 ‘전통적 친선국가들’의 방문이 평화와 친선의순서가...
[학술논문] 초중고 학생들이 생각하는 북한, 북한 사람 및 통일 : 학교 통일 교육에의 시사점
이 연구는 북한과 통일에 대한 초중고 학생들의 생각을 깊이 있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학교 통일 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지역 초중고 학생 53명과 북한, 북한 사람 및 통일에 대한 심층 면접을 수행하고 면접 자료를 감성 분석과 질적 분석을 활용한 혼합적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먼저 북한과 관련하여 초중고 학생들은 국가로서의 북한에 대해서는 부정적이지만, 북한과의 관계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기대를 나타냈다. 다음으로, 북한 사람과 관련하여 학생들은 북한 주민에 대해서는 연민을 내포한 부정적인 감정을, 북한 이탈 주민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지만 경계하는 양가적 모습을 드러냈다. 마지막으로 통일과 관련하여, 평화와 발전, 정치, 문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통일에 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