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광복 70년, 국어학의 여정과 통일 좌표
...민족의식을 가지고 우리말 연구를 꾸준히 키워 온 국어학자들의 수준 높은 연구가 초석이 된 것이다. 품사론 중심의 연구가 구조주의 언어학의 영향을 받아 형태소 분석이나 어미와 접사 등 형태론에 관심을 가졌지만, 곧이어 들어온 생성문법은 통사론을 위주로 문법범주들을 종합적으로 연구해 나갔다. 음운론에도 새로운 이론들이 적용되고 점차 의미론이나
화용론 등 연구 분야가 확대되어 나갔으며, 최근에는 인지언어학, 텍스트이론, 기능문법 등 다양한 서구의 언어학 이론들을 바탕으로 담화 문법을 열어 가고 있다. 그 동안 국어학은 외래 이론들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많은 발전을 이루었지만, 이제 한국어의 특성에 맞는 국어학 이론의 개발도 필요하다고 할 것이다. 또한 남북통일을 앞두고 민족어의 미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