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남북한 평화통일을 위한 한국교회의윤리·선교적 과제
...통일운동은 남한교회의 윤리⋅선교적 과제라는 사실을 전제로 하여 남북한 평화통일을 위한 남한교회의 윤리⋅선교적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한반도의 분단과정과 통일의 필요성을 이해하여야 한다. 남북한의 적대적인 관계를 청산하는 것으로서의 통일운동은 기독교인의 마땅한 윤리⋅ 선교적 과제이다. 하나님과 화해된 기독교인은 화해의 사명을 가지고 있다. 통일운동은 굶주리는 북한동포와 탈북자들을 돕는 사랑의 행위이고, 자신들의 권력유지를 위해 분단 상황을 악용함으로써 인권과 민주주의를 유린해온 기득권세력의불의에 저항하는 정의 행동이다. 더 나아가서 남북한의 통일운동은 남한교회가동북아시아에서 하나님나라의 공동체를 실현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실천해야 하는 윤리⋅선교적 과제이다. 이를...
[학술논문] 한반도 남북통일과 평화윤리 — 덕산 유석성의 “평화와 통일” 사상을 중심으로
...주어진 역사의 시 대적 사명이다. 신앙적 차원에서 보면, 한반도의 평화통일은 하나님의 계 명이고 예수님의 평화 명령을 실천하는 일이다. 국제 관계에서 보면, 한 반도의 평화통일은 동아시아의 평화뿐만 아니라 세계평화에 기여할 수 있는 일이 된다. 이러한 남북한의 평화통일의 기반은 정의로운 평화이다. 이 정의로운 평화는 혼자 하는 것이 아니라 함께하는 공동의 길이다. 또 한 주어진 상태가 아니라 실현되어 가는 과정을 의미한다. 이런 면에서 한반도의 통일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정의로운 평화 공동체를 위한 과정이자 수단이다. 이를 위해 한국 기독교는 하나님의 계명이며 민족적 과제인 평화통일을 이루는 일에 책임의식을 갖고 마음과 뜻과 힘을 다하 여야 한다. 평화통일이라는 역사적 사명이 남북한 모두에게 시대적...
[학술논문] 남북관계에서 본 북한 선교정책 전망: 한국교회의 북한선교 방향성 고찰
북한선교는 만남의 길이요, 화해와 화목으로 가는 길이며, 한국교회의 필연적인 사명이며, 북한 동포들이 복음을 통해 예수 그리스도로 구원을 얻고 하나님의 자녀로 삶을 영위하는 것이 북한선교의 궁극적인 목표다. 따라서 인간 삶의 본질적인 변화를 추구하는 기독교 선교에 있어서 북한 동포들의 사고방식이나 생활습관 등의 환경적인 요소들에 대한 연구와 분석은 필수불가결한 요소일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남북한이 공유할 수 있는 종교의 환경적 영역을 넓혀가는 것이 진정한 의미의 민족화해와 평화통일을 이룩하는 것임을 깨닫는 일이다. 그 영역들을 찾아내어 분석하고 이해하는 일들이 북한선교에 선행되어야 할 과제이다. 남북관계에서 본 북한선교정책전망의 개념 이해를 중심으로 한국교회의 보수진영(한기총, CCK)과 진보진영(한국교회협의회...
[학술논문] 사회변혁과 기독공동체의 통일준비
...바라보고 객관적으로 분석하는데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이런 상황에서 그리스도 공동체는 어떤 시각으로 사회변화를 바라보아야 하는지 또 어떤 마음가짐으로 통일을 준비해야 하는지 검토하는 일은 중요하다. 그리스도인들은 이념의 틀에서 벗어나 신앙의 눈으로 사회변화를 지켜보아야 할 것이고, 편향성과 주관성을 떠나 신중하게 대응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하나님의 뜻이라며 하나님 이름을 오용하는 일은 이젠 그만 두어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우리에게 주어진 화해의 사명을 자각하여 분열된 사회와 분단된 조국의 화해를 위해 선을 행하며 사랑을 실천하는 일이 계속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 먼저 용서하고 서로 화목하며 공의를 이루어가야 할 것이다. 아울러 북한동포를 위해 기도하며 통일을 준비하는 교회 공동체가 되어야 할 것이다.
[학술논문] 종교개혁과 한국교회의 통일준비
...100년이 넘은 한국교회는 개혁교회의 정신을 잘 유지하고 있을까? 이런 관점에서 살펴볼 때 한국교회는 성경만을 강조하다 보니 실천을 소홀히 한 면이 있다. 또 은혜만을 말하다 보니 윤리의식의 약화를 가져왔다. 그리고 믿음을 주장하지만 구별된 삶을 보기 어렵다. 그렇다면 한국교회는 철저한 회개를 통해 신앙의 본질을 되찾아야 한다. 이런 개혁정신과 더불어 통일은 막힌 담을 헐고 화해하는 선교적 과제이다. 통일준비를 위해 먼저 주변에 있는 탈북민들에게 시선을 맞춰 이웃사랑을 실천해야 한다. 또한 통일교육을 실시하여 통일을 이해하고 준비해야 한다. 대외적으로는 이념갈등에서 벗어나 성경을 중심으로 예언자적 사명을 감당하는 일이다. 그리하여 교회의 개혁이 사회의 변혁으로 확산되고 남북통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