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각필구결 구조도를 적용한 한글 문장부호디자인 시스템 제안
...역사적 개연성을 바탕으로 새로운 한글 문장부호디자인 시스템을 제안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15 년 현재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서 있는 한글 문장부호 25 가지로 하였다. 그리고 분석을 위해 새로운 한글 문장부호 시스템을 수립하였으며, 이 시스템으로 디자인한 문장부호들을 한글 문장부호 세칙안에 적용하였다. 2 장에서는 훈민정음을 반포하기 이전 사용되었던 각필구결의 문장부호 기능을 살펴보고 훈민정음 해례본에서의 구점과 두점, 한글 맞춤법 통일안 이전 발견되는 한글 문장부호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 나타난 한글 문장부호와 북한의 문장부호를 살펴보았다. 3 장에서는 한글 서체회사의 문장부호디자인을크기, 무게, 너비, 글자사이, 기준선을 기준으로 비교·분석하였다. 4 장에서는 각필구결에...
[학술논문] 한글 창제를 다룬 남북한 역사소설 비교
...북한에서 창작된 박춘명의 『훈민정음』을 비교해 보았다. 한글은 남북한이 공유하는 역사적 공통 유산으로서, 한글창제를 다룬 남북한 역사소설은 서로를 비춰주는 거울이 될 수 있다. 세 작품의 비교는 크게 민족주의와의 관련성, 세종의 형상화 양상, 여성주의적 시각이라는 기준을 바탕으로 수행하였다. 박춘명의 『훈민정음』과 한소진의 『정의공주』는 문자 창제의 주체로 고대 문자를 내세운다는 점에서 공통된다. 이와 달리 『뿌리 깊은 나무』는 한글이 외국의 문자와 이론의 영향 속에서 창제된 것으로 형상화되어 있다. 그러나 한글 창제의 이유는 철저하게 민족주의적인 관점에서 서사화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볼 때 남북한 소설 모두 민족주의 담론과 깊이 연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훈민정음』에서 세종은 성삼문의 절대적인...
[학술논문] 북한 훈민정음 연구의 성과와 전망: 해방 직후부터 2000년대까지의 연구 성과를 중심으로
...2000년대까지 북한에서 이루어진 훈민정음 연구 성과와 그 의의를 실증적으로 밝힌 글이다. 특히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사에 대한 총체적인 접근이 부족한 상황에서 훈민정음 연구 성과에 따라 시대를 구분하고 그 시대별 특징을 귀납하였다. 크게 ‘북한 훈민정음 연구의 맹아기(1945년~1948년), 북한 훈민정음 연구의 발전기(1949년~1966년), 북한 훈민정음 연구의 침체기(1967년~1981년), 북한 훈민정음 연구의 부활과 대중적 확산기(1982년~ 1995년), 북한 훈민정음 연구의 정리기(1996년~2006년)’의 다섯 시기로 시대를 구분하여 연구사를 서술하였다. 북한의 훈민정음 연구는 원본 <훈민정음>의 발견과 맞물려 그 텍스트의 번역이 훈민정음 연구의 시작이었다. 그 후 국어사에...
[학술논문] 남북문화 동질성 회복 위한 북한 서예문화 현황 고찰 (2) - 북한의 서예 시원 및 주체서예 성장·정립과정 고찰
...증명해 내고자 하였다. 대표적 자료가『영변지』의 신지글자 16자와 이후『단군세기』에 수록된 가림토글자 38자가 한국서예 시원을 주장하는 기준이다. 그리고 신지글자체는 훈민정음체의 전범(典範)으로 조선민족서체가 고대시기에 시원을 둔 세계적으로 가장 오랜 역사를 가진 서체라는 것이다. 그러나 북한에서 근거자료로 제시하고 있는『태백일사』,『단군세기』·『규원사화』등은 남한 학계에서는 위서시비가 있고 그 학술적 가치를 인정하지 않는데 문제가 있다. 또 훈민정음체와 관련하여서도 남한에는 이에 대해 다양한 학설이 상존하고;1940년대 훈민정음 해례본이 발견된 이후에는 한글창제 기원을 발음기관 상형설에 비중을 두고 있다. 이들에 대해서는 아직도 남북간에 계속적인 논의가 필요한 영역이다. 둘째;북한의 ‘주체서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