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장용학의 『圓形의 傳說』에 나타난 냉전기의 주체 분열 양상
...친부를 찾고 자기 존재의 의미와 역사를 탐색하는 과정은 인간을 규정하고 억압하는 한반도의 대타자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장’은 끝내 사회의 집단적 정체성에 종속된 주체이기를 거부하고 체제 밖을 지향하는 이방인으로 남게 된다. 이러한 서사는 주체가 기존 질서의 기원과 바탕에 물음을 던지는
히스테리
담론 형식을 취한다. 국민을 동질화하는 지배
담론에 동화되지 못했던 자들의 영역, 즉 냉전 체제의 잉여 지대를 형상화하여 냉전기 한국 사회의 균열을 보여주고자 한 것이다. ‘이장’은 자신의 본래적 욕망을 추구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며, 인간을 억압하는 타자의 언술로부터 해방될 수 있는 “4차원”의 세계를 구상한다. 그것은 인간을 인간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