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트럼프 북핵 용인?…첫 쿼드성명서 '한반도 비핵화' 빠져
미국 도널드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첫 쿼드(Quad·미국·일본·호주·인도 4개국 안보 협의체) 외교장관회의 공동 성명에서 ‘한반도 비핵화’ 표현이 빠졌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 북한을 ‘핵보유국(nuclear power)’으로 지칭한 데 이어 이번엔 쿼드 성명에서 비핵화 표현이 사라지면서 미국의 대북 정책 목표와 방향이 수정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한층 커지고 있다. 미국이 북한의 비핵화를 불가능하다고 여기고 핵 동결이나 핵 군축을 염두에 둔 ‘스몰딜’에 나설 것이란 전망에도 더욱 힘이 실리고 있다.
[뉴스] "독자 핵무장도 미국의 전술핵 배치도 좋은 옵션 아니다" [출처:중앙일보] https://www.joongang.co.kr/article/25310912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식(1월 20일)에서 북한을 ‘핵보유국(nuclear power)’으로 언급한 것은 한반도 안보환경의 새로운 파고(波高)가 다가오고 있음을 예고했다. 어느 정도 손발을 맞춰온 바이든 정부 때와 달리 한국과 미국의 북핵 공조 체계가 근본부터 바뀔 수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다만, 백악관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추구할 것”(지난달 28일)이라는 입장을 내놓은 데 이어 털시 개버드 미 국가정보국(DNI) 국장 후보자가 이틀 뒤 대북정책 우선순위로 “북한의 핵·미사일 위협을 줄이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북한은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핵무기 연구소 방문을 지난달...
[학술논문] 북한이탈 청년의 화용능력 연구 - 거절․요청․사과 화행을 중심으로 -
...studies. The study found out that there was significant discrepancy between NKRA and South Korean Adolescents in pragmatical competence, especially in accepting the different strategies following to power and distance in each act. However, NKRA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after one year of residing in Korea and also one year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Most of all, the period of Korean language...
[학술논문] 북핵문제 해결과 한반도 평화체제의 모색: 미·중관계와 북한의 안보위협 인식
...심화되고 중국의 부상에 대한 북한의 정세인식은 북핵문제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경로변화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미·중관계를 중심축으로 한 동북아 힘의 분포(distribution of power) 구조와 동북아의 힘의 균형 변화를 국력과 군사력을 중심으로 평가하고, 북한이 제기하는 안보군사위협의 특성 및 한계를 논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현재 북한의 핵정치 역시 일면 미·중간 힘의 역학관계라는 전략적 환경에 적응한 합목적적인 전략적 선택의 결과로 인식한다. ‘힘의 전이(power transition)’에 기반하여 본다면 과거와 달리 북한은 중국의 부상에 따른 미·중관계 변화를 인지하고 더 이상 미국이 아닌 중국에 완전한 편승은 거부한...
[학술논문] 군사분쟁과 세력균형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연구목적은 국가 간, 특히 강대국 간 힘의 분포(power distribution)와 국제사회의 안정(systemic stability)에 관한 세력전이이론(power transition theory), 패권안정이론(hegemonic stability theory), 세력균형이론(balance of power theory)의 이론적 논의를 계량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1885년부터 2002년까지 국제체제에서 발발하였던 군사분쟁(militarized conflicts) 사례들을 압도적 힘을 보유한 패권국의 존재와 군사분쟁, 체제 내 패권국가로의 힘의 집중과 군사분쟁에 관한 연구가설을 중심으로 계량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강대국 힘의 분포에 관한 세 국제정치이론의 적실성이...
[학술논문] 통일한국의 세계사적 의미와 방향성 - 비판적 고찰과 새로운 제안 -
...기회를 온전한 통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지금까지 나온 표준적인 주장은 자유민주주의와 열린 민족주의를 이념으로 채택하고, 시장경제 체제, 평화주의 전통, 인간중심적 체제 그리고 인본주의 등을 계승, 발전시킨다는 것이다. 그리고 통일한국의 세계사적 의미로서 세계 8위권이내의 경제대국화, 국제정치상의 실질 강대국으로의 부상, 국제사회에서 담당하게 될 크고 힘 있는 역할 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이 같은 강조는 통일을 위해 협력을 구할 주변 국가들의 우려만 확대시킬 가능성이 크다. 바람직한 것은 전 세계 국가들과 더불어 세계적 평화와 번영을 선도적으로 추구하는 이미지를 구축하는 것이다. 통일한국의 세계사적 의미와 방향성은 ‘소프트파워’를 강조하는 미래지향적이고 평화공존적인 ‘21세기...
[학술논문] 두 가지 힘(Power) 개념과 미국의 북한학-북한학의 마키아벨리주의(Machiavellianism)와 스피노자주의(Spinozism)-
...‘힘’에 대한 두 연구인 수지 김(Suzy Kim)의 『북한 혁명의 일상생활』과 찰스 암스트롱(Charles K. Armstrong)의 『약자의 독재』를 대상으로 이들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한계를 검토한다. 이 글에서 말하는 ‘힘’이란 두 가지 변별되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수지 김이 북한의 건국기의 일상생활을 연구함으로써 시도하는 것은 스피노자주의적 힘, 즉 “힘/역능(potentia; puissance; power)”의 재구성이고, 찰스 암스트롱이 부시 행정부의 도덕주의적인 대북정책을 비판하면서 제안한 것은 마키아벨리주의적인 “힘/권력(potestas; pouvior; Power)”에 대한 이해였다. 하지만 전자는 “힘/역능”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