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건국 초기 사회주의 공업화 건설과 지식인의 개조: 황건의 새로운 항로를 중심으로
이 논문은 황건의 장편소설 새로운 항로에 대한 구체적인 해석을 제출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황건과 그의 문학에 대한 연구는 북한 자료의 제한적 접근으로 여전히 새로운 해석을 기다리는 부분을 많이 남겨두고 있다. 이런 공백을 채우기 위한 시도적 작업으로서 이 논문은 기존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덜 조명된 새로운 항로에 주목하였다. 1980년 10월에 발표된 새로운 항로는 1970년대 북한 사회와, 한국전쟁 휴전 이후 현재보다는 과거의 재현에 주력했던 황건의 개인적 창작성향이 함께 만나 탄생시킨 중요한 문학적 업적이다. 이 소설은 작가의 여타 작품에 자주 등장하는 농민이 아닌 지식인을 주인공으로 내세운 데다가 이들이 가열한 전쟁의 와중인 1952년 4월 모란봉 극장에서 열린 조선전국과학자대회에서...
[학술논문] 해양관광과 남북관광 활성화를 위한 원산〜금강〜설악을 잇는 국제관광무역도시항 조성 방안 연구
...강원도의 원산과 강원도 동해안 도시는 많은 유사성을 공유하고 있어, 양측의 공동발전을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 구축이 매우 쉽다는 것을 고려하였다. 남북 강원도의 원산~금강~설악 지대는 철도와 항공, 크루즈로 이어질 수 있는 지역이다. 이들 남북 강원도 지역은 항만도시로서의 특성과 금강산, 설악산 등의 지리적 특성을 극대화하여 개발할 수 있는 육로(철도), 항로(항공), 해상교통(크루즈)의 요충지로서의 잠재력과 지리적 근접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연구 결과 원산, 금강, 설악을 잇는 국제관광무역도시항만 조성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이 도출되었다. 첫째, 원산-금강-설악 국제관광무역 자유지역을 철도, 항공, 크루즈로 연결하는 계획이다. 둘째, 막대한 통일비용 지출을 막기 위해 선제적 개발과 협력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
[학술논문] 북극해 항로의 동해루트가 독도문제 등에 미치는영향 연구 -안보・군사 등 지정학적 측면을 중심으로-
...각각 새로운 해양질서를 구축하고자 한다. 이같은 새로운 해양질서 충돌의 시행착오 무대는 세계 도처의 해양지역이다. 이런 와중에서 한국은 3면이 바다인 점에서 새로운 양대 해양전략의 충돌에서 예외적으로 존재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동해바다는 미국과 가장 강력한 동맹국인 일본의 서해안 전지역과 연결되어 있어 일본으로서는 해양안보상 급소와 같은 중요성을 지닌 지역이다. 한편, 바람직하지 않는 지구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북극해의 역설’이 성립되어 냉대와 불모의 지대로 인식되었던 북극지방이 활기를 띠게 되고 북극해 항로가 각광을 받는 이변이 진행되고 있다. 기상학적 이변과 기존 물류수송의 제반 문제점들로 인해 북극해 항로의 필요성이 더욱 제기되고 있는데 남방항로에 비해 북극해 항로는 항행거리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