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사회의 변화와 동요의 흐름 - 2원적 분화와 제2사회의 시각에서 -
...Hankiss의 “제
2의 사회”개념을 적용한 서재진의 『또 하나의 북한사회』는 북한의 사회구조와 사회의식이 어떻게 변모하고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며 이를 위해 북한의 계급구조를 포함한 사회구조, 북한 주민들의 인성, 직업관, 경제생활, 사회생활, 정치활 등의 측면에서 일상생활과 의식세계의 변화에 분석의 초점을 맞추고 아울러 북한 지도부가 이러한 사회변화에 대응하며 어떠한 지배이념과 사회 통합이데올로기를 개발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짜오 징은 “북한사회의
2
분법적 분화와 체제의 내구성”에서 1990년대 말 고난의 강행군 시기를 어떻게 극복하고
2원적
사회
분화에도 불구하고 현 체제가 어떻게 유지되고 있는가를 규명한다. 이 글은 북한
사회의
분화양상과 제
2사회영역에 대한 억압과 통제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