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성기능 실태 및 영향요인
...demographic factors (age, education, residential environment, sexual experience(rape), sexknowledge and sex attitud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for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two-way ANOVA, and MultipleHierarchical Regression. Results: The mean score of sexual function for North Korean defectors was 18.94(SD:5.88). Sexual functioningfor North Korean defector women was relatively low...
[학술논문] 제18대 대통령 선거의 북한 요인 분석
실증자료 분석을 통해, 지난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대북정책과 같은 포괄적인 북한요인이 후보를 선택하는데 영향력을 발휘했는지 그 여부를 검증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Logistic Regression) 결과 ‘후보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대북정책, 연령, 권역, 경제과제, 직업, 가구소득’ 순으로 나타났다. 의사결정나무분석(Decision Tree Analysis) 결과 ‘후보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세 가지 분석기법에서 공통적으로 ‘지지정당, 대북정책’으로 분석되었다. 새누리당 지지층은 박근혜, 민주통합당 지지층은 문재인을 지지했다. 그러나 무당파층에서는 ‘유연한 대북정책’을
[학술논문] 남한 치과의사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고정관념이 서비스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eighteen Korean dentists were randomly chosen and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Correlation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primary component analysis were performed. Student t-test and one-way ANOVA were done to elucidate differences according to demographic factor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onstructs,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Results : Stereotyping, emotions, and service behaviors...
[학술논문] 북한 산림경관복원 적용을 위한 한반도 생태지역 특성
...each ecoregion to adapt FLR (Forest Landscape Restoration) of North Korea. An ecological map was constructed by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nd MGC(Multivatiate Geographical Clustering). An ANOVA test verified the differences among ecoregions, and post-hoc pair wise comparisons were performed to determine similarities between them.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extract ecoregional characteristics...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요인을 파악함으로써 향후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사업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B시와 G시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145명으로 2016년 2월 1일~3월 10일까지 외상 후 성장, 사건 충격척도, 외상적 반추, 자아존중감, 적응유연성을 설문조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성장은 평균 29.64점이고, 여성인 경우, 종교가 있는 경우, 외상적 반추 및 적응유연성의 점수가 높을수록 외상 후 성장의 점수가 높았으며, 이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