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Multiculturalism Is Good, But We Are Not Multicultural: North Korean Defector Students' Perceptions of Multiculturalism
...South Korea, national identity, and opinions of being categorized into one of multicultural groups. The results show that although they came from an ethnically homogeneous country, most informants had national identity with strong civic orientation and expressed positive views towards multiculturalism and multicultural society. Still, a couple of students had national identity with ethnic orientation...
[학술논문] 6·25전쟁에서 미국의 정치적 목적과 군사적 목표
2차 세계대전이 종료되고 미국과 소련은 각 국이 추구하는 이념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체제경쟁을 시작했다. 전후 미국의 자유 민주진영과 소련의 공산진영으로 양분된 세계는 곳곳에서 경쟁으로 대결 구도가 등장하였고 그렇게 냉전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반도에서도 냉전의 흐름이 반영되어 1950년 6.25전쟁이 발발하게 된다. 본 연구는 클라우제비츠가 주장했던 제한전쟁의 틀을 활용한 가운데, 6.25전쟁에서 미국의 정치적 목적과 군사적 목표를 분석하는 것이다. 수단론적 전쟁관의 입장에서 정치적 목적과 군사적 목표를 명확히 하는 것은 전쟁수행 당시의 정책 결정자들의 결정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며 전쟁 전반을 이해할 수 있는 길잡이 역할을 하게 된다. 1950년 당시 미국의 입장에서 볼 때, 한국의 중요성은
[학술논문] Is National Identity an Obstacle to the Acceptance of Foreign Immigrants as Kookmin (Korean Citizen)?
...that Koreans attach to the title ‘citizen' or ‘Kookmin’. On the other hand, respondents who hold strong civic identity are more likely to accept North Korean defectors and Korean Chinese as Korean citizens. Hence, such result indicates that Koreans are reluctant to accept other ethnic groups as citizens due to their strong national identity and more importantly, ethnic identity.
[학술논문] 계층과 탈북자에 대한 태도: 객관적 계층위치와 주관적 계층인식의 격차를 중심으로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시민들의 심리적 반응의 매커니즘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되 ‘계층’ 간 갈등이라는 측면에서 이를 살펴보았다. 계층을 객관적 계층위치와 주관적 계층의식 간의 불일치성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으며 여론조사 분석 결과 객관적 계층위치와 주관적 계층인식의 괴리라는 경제적 요인의 영향력은 미미하고 통일의 필요성, 한국 사회 신뢰, 이념 등의 정치적 요인들이 한국인들의 탈북자에 대한 태도 형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제적 요인의 영향력이 강력하게 나타난 서구의 연구들과는 일치하지 않는 것으로 한국적 특수성이 반영된 결과이다. 탈북자를 다문화인으로 간주하기는 하나 여전히 ‘동포’ 또는 ‘한민족’이라는
[학위논문] "목차 ⅰ 표목차 ⅳ 그림목차 ⅴ 논문개요 ⅵ 제1장 서론 1 제1절 연구의 목적 1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5 1. 연구의 범위 5 2. 연구방법 5 제2장 행정통합전략과 분석의 틀 7 제1절 행정통합전략 7 1. 행정통합이론 7 2. 남북한 통일환경과 수요 26 3
...nuclear crisis that erupted in October 2002. The major actor of reunification education changed hands from government to civilian sector with democracy firmly taking root and the emergence of various civic organizations. Thanks to the development-oriented pursuit of inter-Korean relations by the Kim Dae-jung and Roh Moo-hyun administration, reunification education was gradually promoted in line wit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