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Eurasian Initiative and Strengthening Goryeoin’s Capacity & Networks
유라시아 이니셔티브는 세계 단일 대륙이자 거대시장인 유라시아 역내 국가간 경제협력을 통해 경제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에 기여하는데 있다. 동시에, 이들 국가들과의 협력을 통해 북한 개방을 유도해 한반도 긴장을 완화하고 통일기반을 구축하는데 있다. 그럼에도 향후 본국과 고국 간 및 남북한 간에 중간자 역할을 할 한국 이주노동자인 고려인의 중요성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형편이다. 사실 2000년대 중반 이후 방문취업제로 중앙아시아로부터 입국한 다수 고려인 이주노동자들이 분절된 노동시장인 중소제조업 공장에서 장시간 육체노동을 감당하고 있다. 다른 한편, 러시아 고려인의 경우, 재외동포비자(F-4)로 입국해 단순 노무직에 일을 할 수 없어 불법노동자로 몰리고 있었다. 국내체류 고려인 동포들의 노동권과 거주권이 보장되는
[학술논문] 중국의 민족정풍운동과 조선족의 북한으로의 이주
...Zedong’s regime on ethnicity problems of Korean-Chinese minorities and the migration of Korean-Chinese minorities to North Korea. Actually, the migration of Korean-Chinese people to North Korea has been influenced by a myriad of factors and complicated international affairs, however, this study will deal with the migration issue of Korean-Chinese minorities to North Korea, focusing on the relationship...
[학술논문] 6·25전쟁에서 미국의 정치적 목적과 군사적 목표
2차 세계대전이 종료되고 미국과 소련은 각 국이 추구하는 이념의 우월성을 강조하는 체제경쟁을 시작했다. 전후 미국의 자유 민주진영과 소련의 공산진영으로 양분된 세계는 곳곳에서 경쟁으로 대결 구도가 등장하였고 그렇게 냉전이 시작되었다.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반도에서도 냉전의 흐름이 반영되어 1950년 6.25전쟁이 발발하게 된다. 본 연구는 클라우제비츠가 주장했던 제한전쟁의 틀을 활용한 가운데, 6.25전쟁에서 미국의 정치적 목적과 군사적 목표를 분석하는 것이다. 수단론적 전쟁관의 입장에서 정치적 목적과 군사적 목표를 명확히 하는 것은 전쟁수행 당시의 정책 결정자들의 결정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며 전쟁 전반을 이해할 수 있는 길잡이 역할을 하게 된다. 1950년 당시 미국의 입장에서 볼 때, 한국의 중요성은
[학술논문] 통일 후 북한주민의 부동산자산 배분을 위한 한국의 토지‧주택제도 적용에 관한 연구
...rights to use or occupy is important in two aspects; to lessen the gap of real estate asset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n residents and to reduce the possibility of North Korean residents’ migration to South Korea. In oder to achieve these goals, it suggests that disposal of the distributed land and housing by North Korean residents be restricted by imposing various transaction regulations which...
[학술논문] Is National Identity an Obstacle to the Acceptance of Foreign Immigrants as Kookmin (Korean Citizen)?
Analyzing the 2010 Korean General Social Survey,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national identity on the acceptance of different ethnic groups as Korean citizens or ‘Kookmin (國民, 국민)’. We hypothesize that Koreans will gradually develop a more open attitude toward foreigners as daily interactions with them become more frequent. However, the impact of ethnic identity remained strong. Str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