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 핵 문제에 대한 미국의 개입전략과 북한의 대응전략 : 6자회담 기간을 중심으로
본 논문의 목적은 6자회담 기간동안, 북핵문제를 둘러싸고 벌인 미국과 북한의 대결을 전략메커니즘을 통하여 분석하는 것이다. 미국 부시행정부는 북핵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패권에기초한 억지전략을 활용하였다. 구체적인 전략 수단으로, 단독억지 전략수단인 군사적 개입위협, BDA통제 및 금융제재 그리고, 다자억지 전략수단인 확산방지구상(PSI), 6자회담, 유엔안보리가 적절히 이용되었다. 이에 대해, 북한은 자주에 기초한 균형전략으로 대응하였는데, 경성균형 전략수단인 군사력 강화, 중국과의 동맹 및 외교관계 유지 그리고, 연성균형 전략수단인 내부단결강화, 6자회담, 유엔외교가 활용되었다. 북한은 미국의 개입에 적절히 대응하여 체제를유지하고, 고농축 우라늄 프로그램을 지켜냈지만, 국제적 고립을 더욱 심화시키고 말았다...
[학술논문] 북한이탈 아버지의 양육스트레스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Results: Warmth․encouragement parenting behavior received the highest score. The score for parenting stress was 81.98 out of 180, and 32.3% of participants were found to need professional help (≥PSI 90). There were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warmth․encouragement parenting behavior and parenting stress. There were also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rejection․neglect parenting...
[학술논문] 북한 핵 개발의 동학과 북미 간 전략 비교 - 오바마 1기, 2기를 중심으로
...것을 차단하고, 한국, 일본 등 동맹국을 보호하며, 장기적으로 한반도 비핵화와 북한의 정상국가화를 실현하고자 했다. 2016년 5월 현재, 북한과 미국 모두 궁극적인 전략목표달성에는 실패했지만, 북한은 핵 능력의 고도화와 제도화를 바탕으로 내부단결을 강화시켰으며, 김정은 정권 및 사회주의 체제의 유지 강화라는 당면목표를 달성했다. 그리고, 미국을 외교협상으로 이끌어 낼 수 있는 전략 수단을 더욱 공고히 했다. 미국 또한 확장억지(맞춤형 억지), 단독제재, PSI, 유엔 안보리 제재를 기반으로 하여 북한의 핵 확산을 차단하고, 동맹국 한국과 일본을 보호할 수 있는 토대를 형성했다. 이러한 구조에서 북핵문제가 해결되기 위해서는, 우선 북한이 방패를 거두고 대화에 나올 수 있도록 국제적 환경이 형성되어야 한다.
[학술논문] 편의치적 북한선박의 해상차단에 관한 소고
...편의치적제도의 등장 및 현황, 편의치적 북한선박과 일반적인 편의치적 상선과의 차이를 검토하였다. 또한, 북한선박의 국적세탁을 제재하고 있는 유안엔전보장이사회 결의안의 법적 구속력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국적을 세탁한 북한선박에 대한 PSI를 통한 차단의 실행을 검토하였다. 결론적으로 북한선박의 편의치적과 일반 상선의 편의치적은 목적과 그로 얻을 수 있는 이익의 차이가 있으며, 북한의 선박 편의치적은 유엔회원국 등록취소 및 재등록 금지를 명시한 안보리 결의에 의하여 위법한 행위로 규정되었다. 또 안보리 결의로 인하여 PSI를 통한 편의치적 북한선박의 차단은 그 정당성이 확보되었다고 볼 수 있기 때문에 PSI를 근거로 제주해협과 제주남방해역을 통과하는 편의치적 북한선박을 차단하여 대북제재의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학술논문] 탈북에서 입국까지의 기간 및 북송경험이 탈북 여성의 심리상태에 미치는 영향
본 연구는 탈북 여성의 제3국 체류 기간이 심리적 증상에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하나원에 입소한 탈북 여성들을 대상으로 체류기간을 분류하고, 북한이탈주민의 정신건강문제를 측정하기 위하여 개발된 BPSI-NKR을 사용하여 하나원 입소 후와 수료직후의 검사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제 3국에 체류했던 기간은 외상후 스트레스, 우울, 음주문제, 가족문제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정적 상관을 보이고 있었다. 북한을 탈출하여 국내로 입국하기까지 1년 미만 소요된 집단(n=153)과 7년이상(n=201) 소요된 집단(단기-장기)으로 나누어 심리적 안정성 회복 정도를 살펴봤을 때 PTSD, 우울, 신체화, 분노, 정신증, 음주문제 등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고, 1년이내의 국내에 입국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