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RCP 시나리오 기반 CMIP5 GCMs을 이용한 동북아시아 미래 기후변화 불확실성 평가
...지역을 중심으로 한 동북아시아 지역에 대한 기온, 강수량, 일사량의미래 변화를 정량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총 34개 GCM에 의해 작성된 CMIP5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북아시아 지역에서 전 지구 평균보다 기온과 강수량이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특히 RCP 8.5 시나리오의 2080년대 북한 지역에서는 비록 GCM 간 예측의 불확실성이 크지만 과거 30년(1971-2000년)에 비해 기온은 5.1℃, 강수량은 18% 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일사량의 경우 전 지구평균 일사량은 RCP 2.6 시나리오를 제외한 모든 RCP 시나리오에서 대체로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것으로 예측되었으나 동북아시아 지역에서는 대체로 시간이 경과할수록 운량 감소의 영향으로 일사량이증가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학술논문] RCP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활용한 한반도 연최대 일강우 분석
본 연구에서는 RCP 시나리오에서 제공하는 한반도 일강우 자료를 분석하고, 현재 기준의 강우 분포형에 시나리오 연최대 일강우를 적용하여 재현기간을 산정함으로써 기후변화 시나리오에서 예측하는 극한 강우의 정도를 확인하였다. RCP 시나리오와 최근 강우를 비교하기 위해 1981~2010년(SP0)까지 결측자료가 없는 일강우를 보유한 남한 61개, 북한 27개 (총 88개)의 강우관측소를 분석 대상 강우관측소로 선정하였고, RCP 시나리오의 구간을 2011~2040년(SP1), 2041~2070년(SP2), 2071~2100년(SP3) 세 구간으로 구분하였다. 구간별 연최대 일강우의 평균과 최대치를 이용하여 RCP 시나리오 간 비교 및 최근 관측자료 (SP0)와 RCP 시나리오를 비교하였다. 또한 SP0 구간의 지점별...
[학술논문] 표준강수증발산량지수를 이용한 북한지역 과거와 미래 가뭄 평가
...강수, 증발산량 등의 물 수지를 고려하지 못한다는 한계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가뭄분석에 있어서강수뿐만이 아닌 증발산량을 고려할 수 있는 표준강수증발산량지수(SPEI)를 사용하여 북한지역의 가뭄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해 1981년부터 2016년까지의 기상 관측치를 사용하여 현재 북한 가뭄분석을 통해 표준강수 증발산량 지수의 적합성을 확인하였으며, IPCC AR5의 RCP기후변화 시나리오 중 가장 기후변화에 극심한 영향을 받는 RCP8.5 시나리오를 통해 모의된 미래강수 및 기온자료(2011~2100년)을 이용하여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따른 미래 가뭄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미래로 갈수록 강수량이 증가하나, 기온 상승으로 인한 증발산의 증가로 인해 가뭄의 심도가 증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학술논문] RCP 기후변화시나리오를 이용한 미래 북한지역의 수문순환 변화 영향 평가 II. 압록강유역의 미래 수문순환 변화 영향 평가
...북한지역에서 유역규모의 수문순환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데 있다. 먼저, CMIP5(Coupled Model Intercomparison Project Phase 5)의 모형인 MRI-CGCM3모델을 선택하였으며, 추계학적 축소기법의 하나인SDQDM(Spatial Disaggregation-Quantile Delta Mapping)기법을 이용하여 기후변화시나리오 자료를 편의보정 하였다. 또한 관측치와 SDQDM 기법의 적용 전⋅후의 비교를 통해 SDQDM기법의 타당성을 검토하였다. 또한 기후변화에 따른 극한기후가 북한의 유역규모 수문순환과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순환을 전망하기에 앞서 분석에 사용되는 유출모형의 매개변수 최적화가 우선적으로 수행되어야 하지만...
[학술논문] 앙상블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활용한 북한지역 극한강수량 전망
...현재기후(1981-2017년)와 비교․분석하였다. 비정상성 빈도해석은 RCP기후변화시나리오에 따라 모의된 HadGEM2-AO모델의 외부인자(JFM(1-3월), AMJ(4-6월), JAS(7-9월), OND(10-12월)의 평균 강수량)를 고려하여 수행하였다. 북한지역 극치 강우 사상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외부인자 선정을 위해 앙상블 경험적 모드분해법을 활용하여 연 최대 강우자료의 잔차를 추출하였다. 추출된 잔차와 외부인자 사이의 상관성분석을 실시하였다. 8개 지점(강계, 삼지연, 장진, 양덕, 함흥, 신포, 장전, 신계)에서 3개의 외부인자(AMJ, JAS, OND)가 경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선정된 외부인자를 고려하여 비정상성 GEV모형을 구축하고 빈도해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RCP4.5에서는 8개 지점 중 4개 지점이 현재기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