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여성의 성기능 실태 및 영향요인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female sexual dysfunction of North Korean defector women and to identifyrelated factors. Methods: A total of 110 North Korean defector women who married and lived in South Korean community more than1 year participated in this study. A self-report questionnaire was used to obtain data. The dependent variable is the Female Sexual FunctionIndex
[학술논문] 북한이탈 청년의 화용능력 연구 - 거절․요청․사과 화행을 중심으로 -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NKRA)’ pragmatical competence focusing on refusal, request, and apology act and investigating correlations between the competence and current age, period of residing in Korea, and perio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study employed pragmatical competence acceptability judgment test that was proved its validity and reliability...
[학술논문] Narrativization of Religious Conversion: “Christian Passage” of North Korean Refugees in South Korea
1990년대 중반이후 급증한 남한 입국 북한이주민 대다수가 자신들의 종교적 정체성을 기독교에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글은 기독교로 개종한 북한이주민들이 한국 또는 해외 교회에 초대되어 연행하는 간증에 주목했다. 간증은 종교적 언어이며, 기독교의 대표적 의례중 하나이다. 북한이주민 신자들은 남한 기독교로의 개종 과정에서 남한 기독교 의례를 습득하고, 자신들의 종교적 체험을 성서적 언어로 재해석하여 구술구조에 적합하게 구성한다. 하여, 이 글은 북한이주민 개종 내러티브를 분석함으로써, 그 안에 반영된 한국 기독교의 언어 문화를 조명하고, 북한이주민 개종이 지닌 함의를 분단 맥락에서 고찰한다. 연구자의 현지조사 자료와 개인의 내러티브 비교분석을 통해, 고난/북쪽/과거와 그 대립항인 축복/남쪽/현재, 나아가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경험에 대한 탐구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가 북한 사회체제에서 이미 습득한 교육관이 남한 사회체제 속에서 나타나는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의미는 무엇이며, 이 과정에서 겪게 되는 어려움과 요구하는 지원서비스 내용이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 참여자는 눈덩이 표집방법을 사용하여 북한이탈주민 어머니 8명으로 선정하여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는 남한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의미를 ‘누구에게나 평등한 유아교육 제공’, ‘유아를 위한 유아중심의 교육’, ‘부모와 교사 간 교육 동반자 의식 형성’, ‘유아의 꿈과 희망을 꽃 피우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북한이탈주민 어머니가
[학술논문] 남한 치과의사의 북한이탈주민에 대한 고정관념이 서비스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and has influences on emotions and behavio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tereotyping, emotion and service behavior of South Korean dentist towards North Korean refugee. Methods : Questionnaires for stereotyping, emotions and service behaviors were devised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Two-hundred and eighteen Korean dentists were randomly chosen and questionnai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