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승리연합의 충성심(loyalty)을 관리하는 방법: 가용자원 규모 변화에 대한 가설과 검증
본 논문은 선출인단 이론(selectorate theory)의 주요 개념을 차용하여 북한 엘리트 규모 변화를 김정은 국무위원장 생존전략의 결과로 전제(assume)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한다. 회귀분석은 대중 수출 규모가 승리연합 규모 변화에 양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나, 핵 능력이 승리연합 규모 변화에 음의 방향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준다. 한편 승리연합 규모 감소에 대한 핵 능력 향상은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지만, 승리연합 규모 증가에 대한 대중 수출 규모 증가는 상대적으로 단기간 유지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생존전략 측면에서 살펴보면, 김정은 국무위원장은 핵 능력이 향상될 때 일부 구성원에게만 사적재화를 추가 제공, 승리연합의 규모를 줄임으로써...
[학술논문] 무엇이 북한의 3대 세습을 가능하게 하는가?: 지도자와 엘리트의 연합 관계를 중심으로
...승리연합의 규모가 줄어들수록 지도자의 영향력은 강화되며, 승리연합이 지도자로부터 얻을 수 있는 차별적 재화는 커지게 된다는 ‘선거인단이론’을 변용해 대안적 분석틀을 도출해 내었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논의를 진행한다. 첫 번째로 비 교권위주의체제의 지도자와 엘리트 관계와 관련된 이론적 자원을 검토한다. 두 번째로 이론적 자원을 토대로 선거인단이론(selectorate theory)을 변용한 대안적 분석틀을 도출해 낸다. 세 번째로 북한 정치가 김일성이 권력을 쟁취하고 아들 김정일, 손자 김정은으로 3대에 걸쳐 권력이 세습 가능했던 이유를 지도자와 엘리트의 관계로 살펴본다. 네 번째로 논의를 종합하며 본 연구의 한계와 후속 연구 주제를 살펴보기로 한다.
[학술논문] The Effect of Domestic Political Structures on Nuclear-Weapon Policy : North Korea and Iran
...employs the selectorate theory that analyzes domestic political structures with the selctorate, the set of people who can play a role in selecting the leader, and the winning coalition, the subset of the selectorate whose support is necessary for the leader to stay in power. Based on this theory, we argue that North Korea has the low ratio of the winning coalition to the selectorate and the small...
[학술논문] 김정일 정권 승자연합의 변동과 안정성 분석: 소셜 네트워크 분석을 중심으로
...investigates the dynamics and influencing factors that shaped Kim Jong-il’s winning coalition to understand the North Korean regime’s stability fluctuations. Through employment of the selectorate theory, the dictatorship is seen as a delicate equilibrium between rewards and control between the dictator and his winning coalition. The research identifies three distinct phases in the evolu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