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1991년 북한에서 출판한 중역본(中譯本) <춘향전>의 저본의 성격과 번역양상에 대한 고찰
...<Chun-hyang Jeon 춘향전> as published in North korea, 1991. The translator is not marked, and the original text used was Cho Ryeong-chul(조령출)'s adaptation of <Chun-hyang Jeon> which published in North Korea, 1980. Cho Ryeong-chul's <Chun-hyang Jeon> was a adaptation of the traditional <Chun-hyang Jeon 춘향전>, published in Jeonju (전주, 완판84장본 <열녀춘향수절가>), Cho Ryeong-chul changed many parts of the story to...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문화접변 성향 연구 - 광주광역시 거주자를 중심으로
...experiences for South Korean society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eparation and marginalizat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acculturation patterns of NKM may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ir adaptation. In order to integrate better into the South Korean society for NKM, the policy should provide stable employment opportunities and education programs to recognize between NKM and South Koreans.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부부요인
...likely to suffer in social adaptation. Place of marriage (whether the couple got married before escaping, during the escape or after living in South Korea) did not have a significant impact. Dyadic satisfaction was helpful in social adaptation, while sexual violence had a negative effec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 alternatives for more successful social adaptation by North Korean refugees to...
[학술논문] 북한이탈주민진료센터 정신건강의학과를 내원한 북한이탈주민에서 외상 후 스트레스장애와 사회 적응 및 삶의 질 관계
...the Non-PTSD group. Difficulty adapting to South Korean society was also higher in the PTSD group. Experienceor feeling of neglec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quality of life in the PTSD group. ConclusionZZ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helpful in providing a specific direction for psychiatricintervention strategies to improve overall quality of life and adaptation to life in South Korea.
[학술논문] 북한 정치체계의 엔트로피 변화: 비평형 열역학적 접근
...하였다. 그 과정에서 3대 세습이후 북한 내부의 지지 메커니즘 그리고 2016년 초 북한의 제4차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 이후 전개되고 있는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결의와 후속조치들이 북한 김정은 체제의 정치적 엔트로피 변화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위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 여기서는 북한 정치체계의 엔트로피 변화를 외적 적응(adaptation)과 내적 지지(support)의 두 차원에서 접근한 기존의 연구결과를 논의의 출발점으로 삼았다. 요컨대, 북한 정치체계의 엔트로피 변화를 내적 지지 수준과 외적 적응 능력의 함수로 파악하였다. 이를 토대로 김정일에서 김정은 체제로 이어지고 있는 북한 정치체계의 지속성의 원천을 살펴보고, 김정은 체제의 정치적 엔트로피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