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술적 운용과 무기체계 획득을 위한 대화력전 모델링과 분석
...counterfire warfare, it is important to detect and attack enemy targets faster than the enemy using sensing and shooting assets. The artillery assets of North Korea are mostly mine artillery and much more than those of South Korea. To cope with sudden fire attacks from North Korea, we need to improve capability of our artillery. In this paper, we discuss issues and problems of our counterfire warfare systems...
[학술논문] 러일전쟁 시기 함경도 전투의 전개과정
...place in the area was the ‘forgotten war’ and the ‘last war’ which took place at the frontier area in the land. The Hamgyeongdo Battle was characterized as the land and naval warfare which was intricately waged around the border between the Korea and Russia, and the East Sea. Winning or losing the war was significant for both Russia and Japan. But after the Japanese troops consecutive...
[학술논문] 북한의 통일전선 전략전술과 대남 정치심리전
북한의 대남적화 전략은 두 개의 수단으로 추진되고 있다. 하나는 군사적 수단이요 또 하나는 비군사적 수단이다. 북한의 군사적 수단에 대해서는 그 의도와 능력이 파악되었고, 대비도 비록 충분하지는 않지만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비군사적 수단에 대해서는 이를 추진하는 적의 의도, 능력에 대한 파악이 부족하고, 그 추진실태와 효과에 대한 인식이 미흡하다. 인식이 미흡하기에 올바른 대비가 있을 수 없었다. 따라서 북한의 비군사적 수단은 큰 장애 없이 의도한 바가 지금까지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그리고 현 시점 우리에게 큰 위협이 되고 있다. 따라서 필자는 비군사적 수단에 의한 북한의 대남전략을, 내외 상황조건에 맞춰 더 정교하고 효과적인 것이 되도록 발전시킨 통일전선론체계, 민족담론 투쟁방식과 정치심리전의
[학술논문] Future Warfare Dynamics and Response Strategies on the Korean Peninsula: Insights from the Russia–Ukraine War
...developed advanced weapons systems. With North Korea’s nuclear and conventional military threats, the variable alliance policies of the new U.S. administration, and changes in the nature of future warfare following the Ukraine war, the ROK military now faces multiple crises, making the establishment of effective response strategies an urgent task. Accordingly, this study explores the main features...
[학술논문] 한반도의 미래전에 관한 연구 : 평시전 개념의 도입과 전시전 양상의 예측
21세기 전쟁은 인공지능, 자율무기체계, 사이버 능력 등 첨단기술의 발전으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미래전 논의는 전면적 무력충돌에 집중하는 ‘전시전(戰時戰, wartime warfare)’ 중심의 시각에 치우쳐 있다. 본 논문은 북한의 전략적 행태와 한반도의 지정학적 특수성을 반영하여 전쟁이 평시에도 지속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며, 이를 설명하기 위해 ‘평시전(平時戰, peacetime warfare)’ 개념을 새롭게 도입한다. 평시전은 회색지대 분쟁(gray zone conflict)과 유사하지만, 공격 주체나 행위를 인지하지 못하는 경우까지포괄한다는 점에서 보다 광의의 개념이다. 본 논문은 한반도에서 나타나는 평시전의 양상을 재래식 국지도발, 사이버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