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의 정치적 관심 중 하나인 북한의 비핵화와 남북한 관계를 살펴볼 때;장기적인 관점에서 북한 과학기술에 대한 활용방안 및 전략 수립이 필요한 시점이다. 그러나 지금까지 북한의 과학기술 동향 파악과 관련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2014년~2017년 2월 동안 북한 과학 기술네트워크가 제공하는 북한 학술지 중 11개(경공업과학;고려의학;과학원통보;기술혁신;기초의학;김일성종합대학학보;내과;생물학;소아산부인과;예방의학;조선의학)에 게재된 식품학/영양학 분야의 논문 분석을 통해 북한의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각 분야의 연구자들은 선정된 426편의 논문을 검토하여 다른 분야(전자;축산학;의학;농업;화장품 등)로 분류된 33개의 논문을 제외한 393개의 논문을 최종으로 선정한 후;각 전공분야의 전문가들이 원문 검토하여 논문의 구조적 특징;기술적 특징;연구 경향;논문의 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북한 학술지의 구성은 서론;재료 및 방법;연구결과 및 고찰;맺음말;참고문헌으로 이루어져 국내외 학술지와 유사한 형식을 갖추고 있었다. 그러나 논문의 양은 1/2~3페이지로 매우 짧았으며 참고문헌은 생략되거나 기재되어 있더라도 평균 2~4편의 참고문헌을 인용하고 있었다. 식품학/영양학 분야 논문 연도별 게재 현황을 살펴보면 2014년 87편;2015년 74편;2016년 152편;2017년 36편이 학술지에 게재되었다. 분야별 논문 게재 분포는 식품화학 17편;식품기기분석 17편;식품가공학 62편;식품조리과학 26편;품질관리 6편;달리 분류되지 않는 식품과학 4편;식품공정공학 37편;식품저장/유통/포장 4편;식품미생물학 18편;식품발효학 25편;효소/생물전환 반응 5편;식품위생/품질관리 11편;식품 위해성 평가관리 3편;식품 중금속 1편;기능성식품 93편;영양대사조절 4편;보건영양/영양역학 1편;영양조사/평가모니터링 3편;임상영양 18편으로 분류되었다. 전반적으로 북한의 식품학/영양학 관련 연구 수준은 매우 낮았으며 대부분의 논문은 이론보다는 실용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본 연구는 식품학/영양학 분야에서는 최초로 북한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을 통해 북한의 연구현황 및 기술수준을 검토한 데에 의의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추후 지속적인 식품학/영양학 분야의 북한 학술지 모니터링은 통일 대비 식품학/영양학 분야에 대한 남북한 과학기술 전문용어 이질성 및 기술 격차를 해소할 수 있고 관련 분야에서 남북한 과학기술교류 협력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카카오톡
페이스북
블로그